※ 정진용은 대금연주자이자 선릉아트홀의 무대감독이다. ER 이코노믹리뷰 연재 칼럼 ‘우리 음악 쉽게 듣기’에서는 현장에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초심자가 국악을 더 쉽게 즐기는 방법을 소개하고 감상할만한 곡을 추천한다.
※ 정진용은 대금연주자이자 선릉아트홀의 무대감독이다. ER 이코노믹리뷰 연재 칼럼 ‘우리 음악 쉽게 듣기’에서는 현장에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초심자가 국악을 더 쉽게 즐기는 방법을 소개하고 감상할만한 곡을 추천한다.

많은 전통 예술인이 그러하듯 필자도 풍물(風物)로 국악을 시작했다. 현재의 무거워진 몸과는 달리 당시에는 물찬 제비와도 같이 북과 징, 소고를 들고 상모를 돌리며 자반뒤집기까지 열심히 돌았다. 

우리나라에서 '풍(風)'이라는 글자는 풍류, 풍악, 풍물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음악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풍물은 농악에서 사용하는 악기를 뜻하기도 하나, 현재는 연행을 뜻하는 풍물놀이, 농악과도 의미를 혼용한다.

농악은 놀이패가 꽹과리, 북, 태평소 등을 연주하며 마을의 안녕을 빌고, 노동 음악으로도 사용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하던 종합 예술이자 의식이다. 

호남좌도, 호남우도, 영남, 영동, 웃다리(경기)농악 등 지역 고유의 농악들이 있으며, 평택, 이리, 강릉, 진주, 임실, 구례 등지의 농악들이 무형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현대에 와서는 아쉽게도 의식이나 놀이로서 기능은 잃고, 공연 예술화되어 연주되고 있다.

사물놀이는 현재 작품 이름, 더 나아가 장르 자체가 되었다. 정확히는 1978년 창단된 단체의 이름이고, 이들이 연주한 ‘풍물을 연주하는 농악가락’이 현재 우리가 인식하는 사물놀이이다. 이름 그대로 꽹과리, 장구, 북, 징, 사물(四物)로 악기를 구성하고 농악가락을 연주하는 작품인 것이다. 

서서 농악을 연행할 때에는 악기를 연주하는 동시에 상모를 돌리거나 진을 짜거나 춤사위를 하는 등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하지만, 사물놀이는 다르다. 앉아서 악기에만 집중하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연주의 수준이 높다.

사물놀이는 어떻게 감상하면 될까?

사물놀이는 연주단체에 따라, 그리고 연주 시간에 맞추어 한 지역의 가락만을 사용하거나 여러 지역의 가락을 조합하여 기승전결을 가진 한바탕을 구성하는 모음곡 형식이다. 길군악, 칠채, 오채, 다드래기 등 다양한 가락이 있지만, 이중 두 가지 가락을 소개한다.

첫째는 짝쇠 가락이다.

짝드름이라고도 불리는 이 가락은 곡의 절정 부분에 주로 편성된다. 대부분의 국악이 느리게 시작해 빠르게 끝난다는 것을 기억할 것이다. 짝쇠 가락은 상쇠(꽹과리)와 징 또는 북을 치던 부쇠가 빠른 가락을 주고받으며 조화를 이루는데, 처음 들으면 서로 안 맞는 것 같으면서도 전체적으로 절묘한 리듬을 만든다. 이 짝쇠 가락의 후반부에는 꽹과리의 뒤를 막아 딱딱한 음색을 내고, 악기를 좌우로 회전하는 연주가 있다. 공연장에서 조명을 받으면 꽹과리에 빛이 반사되는 모습이 레이저쇼와 같이 시각적으로 매우 아름답다.

둘째, 이제는 직접 공연에 참여해볼 때가 되었다.

아래는 별달거리 가락의 후반부에 연주자들이 연주와 번갈아가며 외치는 노랫말이다. 이 노랫말을 숙지하고 실제 공연을 보러 가서 함께 외친다면, 연주에 직접 참여하여 흥을 돋울 수 있을 것이다.

하늘보고 별을 따고 땅을 보고 농사짓고
올해도 대풍이요 내년에도 풍년일세
달아달아 밝은달아 대낮같이 밝은 달아
어둠 속의 불빛이 우리를 비춰주네

사물놀이는 누가 들어도 마음이 동하고, 신명을 돋운다. 내 목소리가 묻힐만큼 빠르고 시끄러운 장단에서 눈치보지 말고 ‘얼씨구’를 크게 외쳐 스트레스를 풀어보자.

사물놀이 연주 실력은 상향평준화되어 어떤 것을 들어도 재미있게 들을 수 있으나, 필자가 추천하는 가락을 모두 포함한 영상을 소개한다.

김덕수패 사물놀이의 삼도 농악가락


※ 대금 연주자 정진용은 국가무형유산인 종묘제례악과 대금정악의 이수자이며 선릉아트홀의 무대감독이다. 선릉아트홀은 서울시 강남구의 아담한 공연장으로, 주로 국악이 연행된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