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본관, [출처=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 본관, [출처=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이 종합투자계좌(IMA)·발행어음 신규 업무를 허용받은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들에게 '무늬만 모험자본 투자'가 아닌 중소·벤처 혁신기업을 키우는 '실질적인 모험자본 공급'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금감원은 20일 한국투자증권·미래에셋증권·키움증권의 IMA·발행어음 담당 C-level 임원들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고, 모험자본 공급 의무의 충실한 이행과 건전성 관리 강화 등 대형 IB로서의 책임을 강조했다.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은 전날 자기자본 8조원 이상 종투사로 지정돼 처음으로 IMA 업무를 할 수 있게 됐고, 키움증권은 4조원 이상 종투사 지정과 함께 단기금융업 인가를 받아 발행어음 업무를 영위할 수 있게 됐다.

자기자본 8조원 이상 종투사에게 허용되는 IMA는 원금지급 의무를 부담하면서 고객예탁금을 기업금융 관련 자산에 투자하는 계좌다. 투자자는 손실 없이 초과수익을 노릴 수 있고, 증권사는 고객예탁금을 기반으로 회사채·기업대출 등을 대규모로 투자할 수 있어, IMA는 업계의 대표적 '대형 이슈'로 꼽혀왔다.

금융당국은 새 IMA 상품 출시와 관련해 "불완전판매 발생 시 성과급 환수(clawback) 등 책임 있는 조치가 작동되도록 성과보상 체계를 재점검해 달라"고 요청했다.

현재 금융당국은 금융 사고 발생 시 임직원 성과급을 환수하는 클로백 제도 도입을 추진 중이며, IMA 판매 과정에서도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금감원은 IMA 출시와 관련해 업계와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상품 설계·제조 단계부터 잠재 리스크를 점검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투자설명서·약관·운용보고서를 투자자 눈높이에 맞게 정비하고, 설계–판매–사후관리 전 과정에서 불완전판매 요인을 통제해 완전판매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지속적 모험자본 공급을 위해서는 건전성 관리 강화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2022년 하반기 PF 위기에서 보듯 특정 자산군 쏠림은 증권업 전체의 유동성 리스크로 확대될 수 있다"며 "IMA·발행어음이 시장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선제적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