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움증권은 19일 금융위원회로부터 종합금융투자사업자·단기금융업(발행어음) 사업자 인가를 받았다고 밝히며 "발행어음을 통한 모험자본 공급을 본격화하며 생산적 금융 활성화에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이로써 키움증권은 미래에셋·한국투자·NH투자·KB증권에 이어 5번째 발행어음 사업자가 됐다.
키움증권은 이번 단기금융업 인가로 자기자본 200% 한도 내에서 발행어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됐다.
키움증권의 자기자본은 올해 3분기 말 기준 5조7862억원이다. 이번 인가로 최대 11조원까지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회사에 따르면 발행어음으로 확보되는 자금은 ▲첨단산업 ▲벤처기업 ▲중소·중견기업 등에 집중적으로 투입된다.
특히 혁신기업 성장의 마중물이 될 지분 성격의 투자를 확대하는 등 모험자본 공급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벤처기업으로 시작해 금융그룹으로 성장한 다우키움그룹의 경험과 노하우를 모험자본 공급에 녹여내, 성장 가능성이 높은 벤처·혁신 기업을 발굴하고, 벤처캐피탈(VC) 출자·지분 투자·메자닌(중순위채권) 투자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해 자금을 공급할 계획이다.
또 금융당국의 정책목표에 부합하도록 발행어음으로 조달한 자금의 25%에 상응하는 금액 이상을 모험자본으로 공급한다.
발행어음 조달금액 대비 기업금융 자산 투자비율도 50% 이상을 유지하는 한편, 정부에서 추진하는 국민성장펀드 등 정책금융 사업에도 적극 동참할 방침이다.
자회사인 키움인베스트먼트, 키움PE, 키움투자자산운용, 키움캐피탈 등과도 긴밀히 협력해 투자 시너지를 극대화한다.
이뿐만 아니라 국내 주요 대학 소속 기술지주사, 창업투자사와 손잡고 벤처기업의 엑셀러레이팅(육성) 단계부터 상장 전 투자(프리 IPO), 기업공개(IPO), 인수합병(M&A) 등 '기업의 성장 주기별 종합 금융 솔루션(토탈 파이낸셜 솔루션·Total Financial Solution)'을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투자 리스크 선제적 관리를 위해 현업, 리스크, 감사 부문의 '3중 위험 관리 체계'도 구축했다. 앞으로도 리스크 역량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위험 관리 전문 인력을 연간 기존 인력의 10% 이상 증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고객이 원하는 일자에 만기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발행어음 상품을 최대한 다양하게 구성하고, 지점이 없는 키움증권 특성상 높은 영업 효율성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경쟁력 있는 수신 금리를 제공해, 고객 자산 증식에도 적극 기여할 예정이다.
엄주성 키움증권 대표는 "단기금융업 인가를 계기로 모험자본 공급 등을 통해 자본시장 역동성 제고에 기여하겠다"며 "키움증권 고객에게도 안정적이고 경쟁력 있는 금융상품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