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인협회가 이재명 대통령의 국빈 기간 중 한-UAE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UAE 아부다비 상의와 공동개최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인협회가 이재명 대통령의 국빈 기간 중 한-UAE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UAE 아부다비 상의와 공동개최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인협회는 ‘한-UAE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UAE 아부다비 상의와 19일 공동개최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 기간 중 진행됐으며 양국 정부·기업인 약 50여명이 참석해 AI·첨단산업 등 분야별 협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개회사에서 류진 한경협 회장은 “한국과 UAE는 불모지에서 기적을 만들어낸 국가라는 공통 경험을 갖고 있다”며 “한국의 기술력과 UAE의 혁신 역량이 결합돼 양국은 에너지·인프라·방산 분야에서 가장 신뢰하는 파트너가 됐다”고 평가하고 특히 AI 분야를 미래 혁신 협력의 중심축으로 제시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첨단산업, 방산·에너지·인프라, 컬처(식품, 뷰티, 콘텐츠 등) 등 세 분야에서 구체적 협력 비전이 공유됐다. 첨단산업 분야에서는 삼성, 현대차, LG전자, SK, 네이버 등이 참여해 UAE와 함께 AI 중심의 미래 혁신 허브 구축 의지를 밝혔다. UAE 측에서도 핵심 기관과 기업이 참여해 데이터·AI·스마트시티 등 미래 기술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SK는 UAE를 중동의 핵심 전략 파트너로 규정하며 AI 시대의 새로운 전략 동반자 모델을 제안했고 노타는 UAE 내 AI 기반 교통 관리 시스템 구축 등 구체적 협력 계획을 소개했다.

방산·에너지·인프라 분야에서는 GS에너지가 청정수소·저탄소 암모니아 등 에너지 전환 사업 협력 방향을 제시했으며, 한국전력은 바라카 원전 협력을 기반으로 가스복합·HVDC·ESS 등 차세대 전력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할 의지를 밝혔다.

UAE 측에서도 아부다비 국영석유공사, UAE국방산업지주회사, 국방경제위원회 등 방산 핵심 기관이 참여해 방산·안보 기술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문화·소프트파워 분야에서는 CJ가 2016년 아부다비서 열린 첫 중동 KCON 사례를 비롯해 K-콘텐츠 글로벌 확장을 소개했다. 향후 콘텐츠는 물론 K-푸드 및 뷰티제품 유통 등 UAE와의 협력에 대한 단계적 확장 전략을 발표했다.

삼양식품은 UAE 내 K-푸드 수요 증가에 따라 현지 맞춤형 제품 개발, 체험형 콘텐츠 확대, 할랄 인증 공급망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UAE에서는 UAE는 물론 인근 걸프지역 GCC의 유통망 대표주자 루루그룹을 비롯해 UAE내 식음료 등 유통회사 사르야 홀딩스 등 주요 식품·유통기업이 참석해 K-푸드 및 소비재 분야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