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착석, 기립하는 동작에서 자동으로 보조되는 장치가 개발됐다.

19일 세종충남대병원에 따르면 송희정 교수(신경과)와 신종욱 교수(충남대병원 신경과), 나우플러스 공동연구팀은 '좌변기 이용 보조장치'를 개발해 특허등록을 완료했다.

송희정, 신종욱 교수. 출처=세종충남대병원
송희정, 신종욱 교수. 출처=세종충남대병원

연구팀은 회전식 좌석과 가스 스프링을 결합한 독창적인 구조로 설계했다. 특히 뇌졸중이나 척수 손상, 고관절 또는 무릎수술 환자들은 좌변기 이용시 관절에 무리가 가고 낙상위험이 높다는 점에 착안했다.

가스 스프링이 환자들의 좌변기 착석시 회전속도를 자동으로 감속시키고 기립시에는 회전을 보조해 환자 및 간병인의 부담을 크게 줄이는 효과를 확인했다.

보조장치 양쪽 프레임은 좌변기 착석시 손잡이 역할을 하며 페달부의 길이 조절을 통해 사용전 좌석 각도를 맞춤 설정할 수도 있다.

특히 중증환자의 경우 간병인이 페달을 조작해 보조할 수 있고 경증환자는 스스로 페달을 밟아 독립적으로 좌변기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도 갖췄다.

신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보조장치는 사용자 체중에 맞춰 가스 스프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안전성이 확보된 만큼 병원이나 요양시설, 장애인 화장실 등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