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기업들은 AI 전환에 대해 자금, 인재, 효과성 등의 이유로 어려움을 호소했다. 사진=대한상공회의소
국내 제조기업들은 AI 전환에 대해 자금, 인재, 효과성 등의 이유로 어려움을 호소했다. 사진=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기업의 AI 전환이 비용·인력·효과성 등 3중고에 막혔다고 19일 밝혔다.

제조기업 504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의 AI 전환 실태와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82.3%가 AI를 경영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대기업의 AI 활용도가 49.2%인 반면 중소기업은 4.2%에 그친 결과가 나타났다.

가장 큰 부담 요인은 비용이다. 기업의 73.6%가 AI 도입 비용이 부담된다고 답했으며 중소기업이 79.7%로 대기업 57.1%보다 높았다.

AI 전환 수요가 늘면서 인재난도 심해졌다. 기업의 80.7%가 AI 전문인력이 없다고 응답했고 82.1%는 충원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대한상의는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AI 인재 규모가 2만1000명 수준으로 중국 41만1000명의 5%에 불과하며 인재 순유출 지표에서도 –0.36으로 유출국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AI 전환의 효과성에 대한 확신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60.6%가 효과가 미비할 것이라 응답했다. AI 전환에 적지 않은 비용과 인력을 투입해야 하는 제조업 특성상 투자 대비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클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대한상의는 역량에 맞는 맞춤형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AI 활용도가 높은 기업에게는 일률적 프로그램 지원보다 자사 전략에 따라 유연하게 정책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자율성을 확대해야 함을 강조했다. 정부나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지원책에 대해 용처를 세세하게 제한하기보다 기업이 자체 프로젝트에 맞춰 자유롭게 활용하도록 하는 게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둘째로 AI 도입률이 낮은 기업에게는 단계별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초기 투자 부담이 큰 중소기업에게는 구독형 서비스 기반의 AI 도입 모델을 제공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한상의는 AI의 성능을 체감할 수 있는 실증 모범사례가 빨리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반시설이 이미 조성돼 있는 곳을 활용해 단기간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는 것을 방법으로 제안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지금은 AI에 대한 미래 조감도를 정교하게 만드는 데 주력하기보다는 실제 데이터 축적과 활용, 인재 영입 등에 뛰어들어야 하는 시점”이라며 “모델 공장, 솔루션 보급 등 제조 현장에 빠르게 확산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더불어 강력한 지원, 파격적인 규제 혁신을 담은 선택과 집중의 메가 샌드박스라는 실행전략이 맞물려 돌아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