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바이오·의료 데이터 전주기를 아우르는 '의과학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본격 나선다.
14일 KAIST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AI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사업'의 '루닛 컨소시움' 주요 참여기관으로 선정됐다.
'루닛 컨소시움'에는 트릴리온랩스, 카카오헬스케어, 아이젠사이언스, SK바이오팜, 리벨리온 등 7개 기업과, KAIST, 서울대, NYU,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등 9개 기관이 함께 참여한다.
컨소시엄은 최신 B200 GPU 256장을 지원받아 의료 데이터를 처음부터 끝까지 연결해 분석하는 AI시스템인 '증거사슬 기반 전주기 의과학 AI 모델'과 여러 AI가 협력해 진단·예측을 수행하는 시스템인 '멀티 에이전트 서비스'를 구축·실증할 예정이다.
전산학부 및 김재철AI대학원 교수진들이 공동 연구팀을 구성한다. 최윤재, 김태균, 예종철, 김현우, 홍승훈 교수가 연구팀으로 활동하며 이상엽 연구부총장은 자문 역할을 맡고 있다.
연구진은 AI가 실제로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의료와 생명과학 데이터를 정교하게 가공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전략(L1~L7 단계)을 수립한다. 이를 통해 의료 정보, 유전자·단백질 데이터, 신약 후보 물질 등의 생명과학 데이터를 연결해 분석하는 AI 모델을 개발·검증할 예정이다. 쉽게말해 AI가 다루는 데이터는 말과 글에서 시작해, 분자와 단백질, 약물, 임상연구, 실제 환자진료 정보까지 모두 연결되는 셈이다.
루닛 컨소시움에서 개발되는 모델은 상업적 활용이 가능한 오픈 라이선스 형태로 공개돼 국민건강 챗봇 등 다양한 의료·헬스케어 서비스로 확장될 예정이다.
이 부총장은 "AI 기술이 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를 허물며 새로운 지식창출의 패러다임을 만들어가고 있다"며 "KAIST는 의과학 전주기 데이터를 활용해 AI가 질병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를 예측하는 시대를 앞당길 것"이라고 전했다.
이광형 KAIST 총장도 "KAIST는 AI기반 생명과학 혁신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AI·바이오 융합 연구를 통해 국가 전략산업의 혁신을 선도하며 인류 건강과 과학기술의 진보를 이끌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