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한미 정상회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한미 정상회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미 양국이 29일 경주 APEC 현장에서 정상회담을 통해 무역협상을 타결했다. 앞서 세부 협상안 조율에 난항을 겪어왔던 양국이 손을 맞잡으면서 본격적인 대미 투자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한미 정상회담 결과 브리핑을 통해 “대미 3500억달러 투자  중 현금투자는 2000만달러"라며 “2000억원 투자는 일시불이 아니라 연 200억원 한도에서 사업 진척 정도에 따라 투자하게 된다. 국내 외환시장이 감내할 수 있는 범위”라고 설명했다.

나머지 1500억달러는 기업들이 조선업에 투자하는 방식이 될 전망이다.

김 정책실장은 “1500억달러를 투입하는 한미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는 기업 주도로 추진되며, 기업투자는 물론 보증도 포함하는 것으로 협의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반도체는 주된 경쟁국인 대만과 대비해 불리하지 않는 관세를 적용 받기로 했으며, 자동차 관세 역시 15%로 인하하기로 협의했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한국이 미국에 요청한 핵잠수함 도입 승인 건에 대해서도 진척이 있었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브리핑을 통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핵잠수함 건조 등 여건 변화에 따라 한국이 핵 추진 잠수함을 필요로 하는데 공감을 표하면서 후속 협의를 해나가자고 했다”고 밝혔다.

앞서 양국은 미국에서 한 차례 정상회담을 통해 미국이 한국산 수입품에 부과하는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한국은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를 실행하기로 큰 틀에서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한국의 대미 투자 구성 방식 등을 놓고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최종 타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관측도 제기돼 왔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역시 회담 이후 “오늘 한국과 아주 훌륭한 회담을 했다”며 “회담에서 아주 많은 것이 결정됐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국가 안보 등과 관련된 여러 사안도 논의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