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러시아를 포함한 주요 석유 수출국 연합체 OPEC+가 11월 원유 증산 폭을 당초 시장 전망보다 훨씬 낮은 하루 13만7천 배럴로 결정했다.

5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OPEC+는 화상회의를 열고 이같이 합의했다.

이번 결정으로 시장에서는 과잉공급 우려가 다소 완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로이터통신은 6일 싱가포르 시장 개장 직후 원유 가격이 약 1% 상승했다고 전했다.

당초 일각에서는 11월 하루 50만 배럴 증산 가능성이 거론됐으나 실제 확정치는 이보다 훨씬 적은 수준이다. 이번 증산 폭은 10월과 동일하다.

OPEC+는 증산 폭을 결정하며 안정적인 글로벌 경제 전망과 현재의 건전한 시장 펀더멘털을 이유로 들었다.

아울러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향후 생산량 조정이 중단되거나 역전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다음 OPEC+ 회의는 오는 11월 2일로 예정돼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원유 시장 개장 직후 세계표준시 기준 5일 22시 03분, 브렌트산과 미국 서부텍사스산(WTI) 원유는 전일 종가 대비 각각 1.2% 상승한 가격에 거래됐다.

올해 들어 원유 가격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할 것이라는 우려로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지난주에는 8% 급락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OPEC 내 주도권을 갖고 있으며, 러시아 등이 참여하는 OPEC+는 이를 확대한 협의체다.

OPEC+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감산을 단행했으나 올해 들어서는 생산량을 조금씩 늘리고 있다. 이는 협의체 참여국이 시장점유율을 되찾고, 협의체 외 산유국으로부터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번 결정은 글로벌 원유시장에서 수급 균형을 점검하고, 과도한 공급 증가로 인한 가격 급락 가능성을 방지하려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증산량 하향 조정이 단기적인 가격 안정에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OPEC+의 이번 회의 결정은 국제 유가 변동성과 관련해 투자자와 생산국 모두 주목하는 사안이다.

소폭 증산이지만 시장 심리에는 안도감을 주며, 향후 원유 수급 상황과 가격 변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