퀄컴이 미국 하와이에서 스냅드래곤 서밋 2025를 연 가운데 알렉스 카투지안 퀄컴 모바일 컴퓨트 XR 총괄 수석 부사장은 3세대 오라이온 CPU의 컴퓨팅 파워에 주목했다. 나아가 삼성전자와의 파트너십을 강조하며 갤럭시 AI 경쟁력에 주목하기도 했다.
카투지안 수석 부사장은 24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스냅드래곤 서밋 2025 무대에 올라 스마트폰과 PC 플랫폼 모두를 아우르는 3세대 퀄컴 오라이온(Oryon) CPU를 전격 공개했다. 퀄컴이 세계 최고의 '연결 컴퓨팅 기업'임을 강조하며 강력한 파트너십과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모든 기기를 아우르는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카투지안 부사장은 현대인과 스마트폰의 깊은 유대감을 언급하며 연설을 시작했다. 기술이 삶의 중심이 된 현시대를 조명하며 “나는 항상 테크노 마인드를 가지고 다닌다. 지갑이나 열쇠는 잊어도 휴대폰을 두고 나가는 일은 없을 것. 이것이 바로 우리가 이야기하는 연결의 수준”이라 말했다.
이러한 ‘연결’이라는 가치가 퀄컴의 핵심 정체성이다. 통신 기술의 리더십이 단순한 부품 공급을 넘어 모든 컴퓨팅 경험의 근간을 이룬다는 자신감이다.
여세를 몰아 스마트폰을 넘어선 광범위한 생태계 확장 전략으로 이어진다. 퀄컴의 모바일 기술이 어떻게 다양한 기기로 스며들어 새로운 경험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역설했다. 그는 “연결은 스마트폰을 훨씬 뛰어넘는 것"이라며 "우리는 모바일 기술을 PC, 태블릿, AI, 안경, 시계, 이어버드 등 당신이 이름 댈 수 있는 모든 기기로 밀어 넣었으며 핵심 기술은 생태계에 동력을 공급하고 있고, 이것이 바로 이러한 진보된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고 말했다.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퀄컴의 비전이 기술적 구상에 그치지 않고 시장에서 실질적인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나아가 카투지안 부사장은 기기 사용의 폭발적인 증가가 강력하고 효율적인 프로세서에 대한 수요를 끌어내고 있으며, 그 중심에 CPU가 있다고 강조했다.
3세대 오라이온의 등판이다.
자체 설계한 3세대 오라이온 CPU는 최대 18개의 코어를 탑재했으며 특히 '스냅드래곤 X2 엘리트 익스트림'에 적용된 프라임 코어는 ARM 기반 PC CPU로는 사상 최초로 5.0GHz의 동작 속도를 달성했다.
카투지안 수석 부사장은 지난해 약속했던 와트당 성능(Performance per watt) 우위를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약속했던 대로 와트당 성능은 스냅드래곤의 장점으로 계속되고 있으며 우리는 3세대 오라이온으로 목표를 달성했다"면서 "2024년 컴퓨팅 제품에 도입된 1세대 오라이온과 비교해 거의 40% 향상된 성능과 43% 절감된 전력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AI 시대의 핵심 동력인 헥사곤 NPU의 역할도 집중 조명했다. NPU가 단순히 연산 장치를 넘어 새로운 경험을 여는 열쇠라고 역설했다.
그는 “헥사곤 NPU는 PC와 스마트폰 모두에서 게임 체인저”라며 “CPU와 GPU의 작업 부하를 덜어주어 전반적인 성능을 높이고 전력을 절약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그것이 바로 NPU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일어나는 진짜 마법이다”라고 설명했다.
NPU가 구현하는 ‘마법’ 같은 경험의 실제 사례들을 소개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실시간 음원 분리 기술을 선보인 ‘원테이크 오디오(One Take Audio)’다. 그는 “우리 NPU용 플러그인을 통해 목소리와 악기를 실시간으로 분리한다"면서 "이전에는 스튜디오 수준의 장비에서나 가능했던 마법이 이제 당신의 기기에서 실행되고 있는 것"이라 말했다.
사진 편집 분야에서의 혁신도 소개했다. 저해상도 이미지를 고화질로 복원하는 ‘토파즈 포토 AI(Topaz Photo AI)’가 NPU를 통해 어떻게 놀라운 결과물을 만드는지 설명했다. 그는 “스냅드래곤 X 시리즈 NPU를 사용해 저해상도 이미지를 최대 6배까지 업스케일링한다"면서 "믿을 수 없는 디테일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게이밍도 혁신의 연속이다. 그는 "스마트폰에서는 사진, 비디오 편집, 게임 등 모든 규모의 AI 모델이 놀라운 경험을 이끌고 있으며 그 좋은 예가 바로 ‘저스티스 모바일’ 게임"이라며 "넷이즈와 협력하여 실시간 얼굴 표정 매핑을 구현했으며 플레이어는 자신의 얼굴 움직임을 사용해 아바타의 표정을 제어할 수 있다. NPU에서 실행되는 AI 알고리즘이 존재하기에 가능한 일"이라 말했다.
한편 강력한 파트너십을 통한 성공 사례로 삼성전자를 지목하며 갤럭시 S25 시리즈를 치켜세우기도 했다.
그는 “우리의 파트너들 또한 놀라운 일들을 해내고 있다. 특히 삼성의 갤럭시 S25는 단연 돋보이는 제품"이라며 "온디바이스 AI를 위해 헥사곤 NPU를 중심으로 제작되었으며, 이를 통해 개인화되고 강력한 모바일 경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S25 시리즈는 향상된 멀티모달 AI 경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음성, 터치, 심지어 시각적으로도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