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를 둘러싼 빅테크 기업들의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주요 격전지로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이 꼽힌다. 지난달 31일 삼성전자가 휴머노이드 개발을 가속화한다는 전략을 내세우면서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양상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휴머노이드는 AI를 기반으로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로봇을 말한다. 현재 테슬라, 구글, 아마존, 오픈AI, 엔비디아 등 빅테크들이 이를 미래먹거리로 낙점하고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생성형 AI’를 넘어 ‘피지컬AI’ 시대가 개화하면서 패권 경쟁이 본격화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원삼성의 기틀…다음 타깃은 강한 성장”

삼성전자는 최근 국내 로봇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14.7%에서 35.0%로 늘려 최대주주가 됐다고 밝혔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최초로 2족 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카이스트 휴보 랩(Lab) 연구진이 2011년 설립한 로봇 전문기업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3년 868억원을 투자해 2대 주주로 이름을 올렸다. 이번에 콜업션을 행사하면서 최대주주가 됐다.
삼성전자는 자체 연구 중인 인공지능(AI) 기술에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 기술을 접목해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을 가속화한다. 이를 위해 대표이사 직속 미래로봇추진단을 신설하고 휴머노이드를 포함한 미래로봇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는 구상이다.
미래로봇추진단장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창업 멤버이자 카이스트 명예교수인 오준호 교수가 맡는다. 더 나아가 시너지 협의체를 운영해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 양팔로봇, 자율이동로봇 등을 제조, 물류 등 업무 자동화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로봇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며 투자를 확대해왔다.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 대표이사 부회장은 지난 9월 DX 커넥트 행사에서 “그동안 ‘원삼성’(One Samsung)의 기틀을 다지고 사업간 시너지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우리의 다음 타깃은 ‘강한 성장’”이라고 로봇을 핵심 신성장 사업으로 꼽았다.
한 부회장은 지난 3월 열린 주주총회에서도 “전사적 AI 역량을 고도화해 차세대 전자, 로봇, 헬스 등 미래 기회 영역을 적극 발굴, 새로운 성장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LG전자 “상업용 로봇 개발 집중…M&A 가능성”

글로벌 기업들이 로봇 시장에 공격적 투자를 이어가는 이유로는 ‘성장 가능성’이 꼽힌다.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글로벌 AI 로봇 시장 규모는 연평균 약 25% 성장세를 이어가며 오는 2030년 약 643억 5000만 달러(한화 약 90조)에 달할 전망이다.
‘로봇’을 미래 먹거리로 선점한 글로벌 기업들은 휴머노이드를 시작으로 관련 기술 개발에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로봇기업 인수합병 또는 지분 참여로 시너지 효과를 통해 영향력을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LG전자는 지난 2017년 엔젤로보틱스 인수를 시작으로 로보티즈, 로보스타, 보사노바로보틱스 등 다양한 기업에 투자를 진행했다. 지난해 3월에는 AI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에 6000만달러(한화 800억원 규모)를 투자, 베어로보틱스의 지분을 취득하는 신주인수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조직개편을 통해서도 로봇사업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LG전자는 지난해 연말 단행한 조직개편에서 기존 BS사업본부 산하의 로봇사업을 HS사업본부(구 H&A사업본부)로 이관했다. 기존 가전 사업에 더해 로봇과의 시너지를 높인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LG전자는 수년간 시장 현황을 파악하며 미래 고성장 영역에 투자를 집중해 왔다. 로봇 사업 또한 신사업으로 낙점, 육성중인 상업용 로봇 사업의 조기 전력화·육성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6월에는 구글의 차세대 AI 거대언어모델(LLM) ‘제미나이(Gemini)’를 탑재한 LG 클로이 로봇도 공개했다. 로봇을 미래사업의 한 축으로 삼고 로봇 솔루션 데이터와 빅테크의 AI 플랫폼 기술간 시너지로 미래 사업에서 한발 앞서 나간다는 계획이다.
앞서 조주완 CEO는 지난 2024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 기자간담회에서 “LG전자의 상업용 로봇 사업은 주로 배송과 물류 등 서비스 영역에 집중하고 있으며, 지분투자나 인수합병(M&A) 가능성을 열어두고 발전 방향을 주의 깊게 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