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에 자녀세대는 아파트, 부모는 시니어타운에 거주하는 세대 통합형 '시니어 타운'이 도입된다.
14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 따르면 민간사업자의 사업성 확보를 위해 공동주택용지 등에 시니어타운(임대)을 도입하고 같은 단지에 공동주택(분양)을 복합개발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쉽게 말해 시니어주택(임대)과 공동주택(분양), 기타 커뮤니티 공간·근린상업시설 등 복합 주거공간이 동시에 조성되는 셈이다.
주요 수요층은 수도권과 충청권에 거주하는 중산층의 액티브 시니어(활동적 장년)로 은퇴후에도 활발한 사회·여가·소비활동을 즐기며 능동적으로 생활하는 장년인구가 핵심 타겟이다.
공모 대상지는 행복도시 5-1생활권(합강동) H3블록·의료5-1블록 일대로 현재 2개 필지이지만 1개 필지(대지면적 약 6.2만㎡)로 합필하기 위해 도시계획을 변경할 예정이다. 공모방식은 국토교통부·LH에서 추진중인 화성동탄2 헬스케어 리츠사업의 후속사업으로 추진된다.
행복청은 '찾아가는 민간기업 설명회'를 올해까지 운영해 민간사업자의 의견을 수렴한뒤 사업계획을 보완해 내년 상반기에 공고한다는 계획이다.
김홍락 행복청 도시계획국장은 “행복도시내 시니어타운 도입으로 수도권 인구유입 효과와 시니어타운의 수도권 집중완화를 통한 국가균형발전 효과 등이 기대된다” 며 “앞으로 지방 시니어타운 모델을 성공적으로 공급해 새 주거문화를 확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이코노믹리뷰 #세종시 #세종 행복도시 #세종 행복도시 시니어타운 #행복청 #액티브 시니어 #화성동탄2 헬스케어 리츠사업 #공동주택 분양 #공동주택용지 #행복도시 5-1생활권 #세종시 합강동 #근린상업시설 #국토교통부 #리츠 #수도권 #지방 #소비 #헬스케어
윤국열 기자
kyyun33@econovil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