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잇단 대남 오물 풍선 살포에 대통령실이 2일 오후 장호진 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확대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한다.
대통령실이 북한의 대남 오물 풍선 살포에 대응하기 위해 NSC를 가동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은 지난달 26일 남한 단체들의 대북전단(삐라) 살포에 맞대응을 예고한 뒤 본격적으로 오물풍선을 보내고 있다. 지난달 28∼29일 담배꽁초, 폐지, 비닐 등 오물·쓰레기가 든 풍선 260여개를 남쪽으로 살포했으며, 1일 저녁 8시부터 또다시 오물 풍선을 남쪽으로 날려 보냈다.
이번에 살포한 풍선에도 지난번과 비슷하게 담배꽁초, 폐지, 비닐 등 오물·쓰레기가 들어있다. 군 당국에 따르면 2일 오전까지 약 600개의 오물 풍선이 서울·경기 지역 등에서 식별됐다.
또한 북한은 지난달 27일 실패로 끝난 군사정찰위성 발사 이후 대남 오물 풍선 살포 뿐 아니라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 등 복합 도발로 확대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일까지 나흘째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서 남쪽을 향해 GPS 전파 교란 공격을 벌였다.
앞서 대통령실은 지난 달 27일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대응해 장 실장 주재로 안보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정부는 지난달 31일 '최근 북한 도발 관련 정부 입장'을 발표해 일련의 도발에 유감을 표하며 "북한이 멈추지 않는다면,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모든 조치들을 취해 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도 지난달 31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21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 본회의 세션2 연설을 통해 북한의 오물풍선 도발에 대해 “정상 국가로서는 상상할 수 없고 치졸하고 저급한 행위”라고 말했다
정부는 대북 심리전단을 살포하고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하는 등 대북 심리전 강화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2010년 천안함 폭침, 2015년 목함지뢰 사건과 같은 도발 때 대북확성기 방송을 대응카드로 활용해왔다. 다만 2018년 남북정상회담을계기로 확성기는 철거된 상태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29일 담화에서 우리 정부가 대북 전단이 표현의 자유라서 금지할 수 없다고 한 것으로 비꼬며 대남 오물풍선은 “이민의 표현의 자유”라고 했다.
이어 “풍선이 날아가는 방향에 따라서 ‘표현의 자유’와 ‘국제법’이 규정되는가”라며 “표현의 자유 보장’을 부르짖는 자유민주주의 귀신들에게 보내는 진정 어린 ‘성의의 선물‘이다. 계속 주워 담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군 당국은 “위험 물질이 포함돼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는 만큼 격추 등의 방법보다는 이전과 같이 낙하 후 안전하게 수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국민들께서는 적재물 낙하에 주의하시고, 떨어진 오물 풍선을 발견하면 접촉하지 말고 가까운 군부대나 경찰에 신고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