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중 SKIET 사장(왼쪽)과 국제금융공사 리카르도 풀리티 아시아‧태평양지역 부총재가 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서명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IET]
김철중 SKIET 사장(왼쪽)과 국제금융공사 리카르도 풀리티 아시아‧태평양지역 부총재가 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서명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IET]

SK이노베이션(096770) 배터리 자회사들이 자금조달 겹경사를 맞았다. 전기차용 배터리셀을 담당하는 SK온은 조단위, 배터리 분리막을 생산하는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는 수천억원 상당이다. 양사는 유치한 대규모 자금을 통해 글로벌 생산기지 구축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25일 SK이노베이션에 따르면 전일 SKIET는 세계은행그룹 산하 국제금융기구인 국제금융공사(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IFC)로부터 3억달러(약 4000억원) 규모 그린론 차입 서명식을 가졌다. 3억달러 중 2억달러는 IFC 자체자금이고 1억달러는 민간은행 참여를 통한 조달이다.

SKIET는 이번에 확보한 3억달러를 폴란드 실롱스크주에 구축 중인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막(LiBS) 생산공장 증설 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SKIET는 폴란드 법인(SKBMP)을 설립해 지난 2021년부터 LiBS 제 1공장을 운영 중이다.

현재 제 2~4공장 증설을 진행 중으로 2024년까지 완공 예정이다. SKIET에 따르면 증설 이후 폴란드 제1~4 공장은 연간 15억4000만㎡ 분리막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이는 전기차 약 205만대에 들어가는 배터리 분리막의 양에 해당하는 규모다. SKIET는 이번 IFC 차입으로 폴란드 공장 증설을 비롯해 향후 북미 투자 진행에 소요될 자금 조달 또한 차질없이 진행할 것으로 기대했다.

같은 날 SK온은 공시로 조달 소식을 알렸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SK이노베이션은 자회사 SK온이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인한 주주간계약 및 신주인수계약 체결 승인’으로 9억4400만달러(약 1조240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최대 상업은행인 사우디국립은행(SNB) 자회사 SNB캐피탈이 1억4400만달러(약 1900억원) ▲에너자이저 SS II L.P, BR 주피터 애그리게이터 L.P, 알-라이언 홀딩스 유한책임회사 8억달러(약 1조500억원) 등이다. 이들 미국 중동 지역 글로벌 재무적투자자들은 MBK컨소시엄을 통해 투자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투자는 Q-IPO(Qualified IPO‧적격IPO)로 추진됐다. Q-IPO란 기업이 IPO(기업공개)를 이행할 만한 적격한 상황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공시에 따르면 SK온은 2026년말까지 Q-IPO를 추진해야한다. 미완료 상황 발생 시 투자자는 동반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고의‧중과실로 Q-IPO 미완료 발생 시 투자자가 미리 정한 가격으로 주식을 팔 수 있는 권리인 풋옵션도 행사 가능하다.

SK온은 이날 현대자동차와 기아로부터 2조원 차입 채무보증건도 밝혔다. 지난달 현대차그룹은 SK온과 미국 조지아주에 배터리 생산공장을 건립 소식을 전한 바 있다. 공장 설립에는 총 6조5000억원이 투자되며 투자금은 절반씩 담당하기로 했다. SK온은 글로벌 생산공장 확대로 점유율 상승을 목표로 해 자본조달 부담이 만만치 않다. 회사는 이번 투자금을 포함해 지금까지 총 6조4400억원을 조달한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