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리뷰=진종식 기자] ‘미래기술’을 주도하는 로보틱스(Robotics) 테마 관련 기업들의 장기 성장성에 기대하며 중∙장기 성과를 추구하는 로보틱스 펀드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로보틱스는 로봇(Robot) +테크닉스(Technics)의 합성어로 로봇과 관련된 기술공학적 연구 학문을 말한다.
4차 산업혁명의 도전과제인 인구 고령화와 노동 생산성, 대량 맞춤화, 지속가능성 등을 해결하는 주역으로 커가는 로봇산업이 주목 대상이다.
로봇산업은 로봇에 살아 움직이는 생물학적 동작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더욱 뛰어난 적응성과 유연성을 갖추고 정밀농업로봇에서 헬스케어로봇(수술용-재활-원격의료)까지 다양한 분야의 광범위한 업무를 처리할 만큼 활용도가 향상되고 있다.
특히 로보틱스에 기반한 로봇산업은 안전과 편리성, 생산성을 높이며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인공지능, 정보, 전자, 기계, 소프트웨어, 반도체 등 미래 혁신기술이 총망라된 복합 결정체로 미래 성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에서는 향후 5년 동안 20조 원이 투입될 예정으로 추진되는 한국판 뉴딜펀드의 주요 투자대상 사업으로 로봇, 차세대반도체, 에너지효율향상, 스마트팜 등 40개 분야에 선정되어 수혜가 기대된다.
펀드닥터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15일 현재 로봇산업과 로봇 관련 기술 보유기업에 투자하는 로봇펀드 상위 TOP5의 1년 평균수익률은 32.30%로 매우 양호한 실적을 거두고 있다.
로봇펀드 TOP5의 최근 3개월, 6개월 평균 운용수익률은 각각 11.20%와 23.21%를 기록했다.
코스피200의 평균수익률과 비교하면 최근 1년 수익률은 15.44%로 로봇펀드 TOP5 대비 16.86%포인트 낮은 실적을 기록했다.
동 펀드의 3개월, 6개월 수익률은 각각 9.30%와 7.76%로 동기간 로봇펀드 TOP5 실적 대비 각각 1.90% 포인트, 6.35% 포인트 낮은 수익률 격차를 보였다.
개별 펀드별 수익률을 살펴보면 로봇펀드 TOP5 중 1년 수익률이 가장 높은 상품은 교보악사로보테크증권자투자신탁1(H)[주식]A가 39.56%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다음은 삼성픽테로보틱스증권자투자신탁H[주식-재간접형]A가 35.81%를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이어서 미래에셋TIGER모닝스타글로벌4차산업혁신기술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파생형)합성H 펀드가 30.37%, 삼성 KODEX글로벌4차산업로보틱스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파생형)(합성)이 28.92%, DB글로벌로보틱스인덱스증권자투자신탁(H)[주식]C/A 펀드가 26.88%를 기록하며 각각 3~5위를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산업용 로봇은 인간의 노동력을 초월한 극한노동을 대신해 주며 생산력과 노동력을 보완하는 보조기기의 성격이 짙었다” 며 “그러나 ”미래 기술로 활동하는 지능형 로봇[Intelligent Robot]은 로봇 자신이 필요한 작업을 자율적으로 실행하는 기능과 인간과 쌍방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기능형 로봇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분신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로보틱스 펀드 상위 TOP5의 자산규모와 총보수, 기간수익률, 포트폴리오와 운용전략 등을 비교하여 각 상품의 특징과 투자포인트를 알아본다.

◆교보악사로보테크증권자투자신탁 1(H)[주식]A
펀드유형 : 정보기술섹터
설정일자 : 2017-09-11
자산규모 : 676억원(대형급)
총보수 : 연 2.36%(평균 이상)
이 펀드의 투자목적은 신탁재산의 대부분을 로보틱스 밸류체인에 기여하고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과 로보틱스에 많은 투자를 통해 사업비중을 키우는 기업등에 투자하는 모투자신탁에 투자하여 수익을 추구한다.
운용전략은 신탁재산의 대부분을 로보틱스 밸류체인에 기여하고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대형주, 중소형주)과 로보틱스에 많은 투자를 통해 사업비중을 키우는 기업(초대형주)등에 투자한다. 또한 이 투자신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비용을 위한 유동성자산 투자등을 제외한 모든 투자대상에 대해서는 AXA Investment Managers UK Limited에 위탁운용한다.
선진국 및 신흥국 시장의 로보틱스 및 로보틱스 관련 기술산업에 중점적으로 투자하되, 펀더멘털 분석에 따른 종목선정을 통해 평균 이상의 성장 전망을 보유한 기업 위주로 투자하여 장기적인 성과를 추구하며 운용할 계획이다.
제로인의 평가에 의한 15일 현재 기간수익률을 살펴보면 최근 1개월 수익률은 7.63%, 3개월 14.50%, 연초후 24.49%, 1년 수익률은 39.56%를 기록했다.
이 펀드의 위험등급은 2등급으로 높은 위험 수준에 해당한다. 주요 투자위험은 투자원본 손실위험, 시장위험및 개별위험, 파생상품 투자위험, 이자율 변동위험,신용위험 및 부도위험, 거래상대방 신용위험, 환율변동 위험, 국가위험, 특정주식 집중투자 위험, 환매지연 위험 등이 있다. 특히 거래상대방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유가증권, 단기 금융상품을 발행한 회사가 신용등급의 하락이나 부도 등과 같은 신용사건에 노출되는 경우 그 유가증권, 단기금융상품 등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다.
◆삼성픽테로보틱스증권자투자신탁H[주식-재간접형]A
펀드유형 : 정보기술섹터
설정일자 : 2016-08-11
자산규모 : 1215억원(대형급)
총보수 : 연 1.83%(평균 이상)
투자목적은 이 투자신탁은 해외 주식에 주로 투자하는 해외 집합투자증권에 주로 투자하는 '삼성픽테로보틱스증권모투자신탁[주식-재간접형]'(이하, '모투자신탁')에 투자신탁재산의 대부분을 투자하는 증권투자신탁[주식-재간접형]으로 투자자산의 증가에 따른 수익을 추구한다.
투자전략은 모투자신탁이 주로 투자하는 해외 집합투자기구는 산업 공정 자동화 발전을 위해 차세대 로봇을 생산하는 기업, 로봇의 인식, 판단, 의사소통, 동작 수행 관련 구현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 일상 생활에 적용 가능한 소비자서비스 응용 로봇 도입을 위해 로봇-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을 발굴하며 이에 투자한다. 단 시장 상황에 따라 상기 비지니스 테마의 주요 전략 일부 또는 전체가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비지니스 테마에 새로운 테마 및 전략이 추가될 수 있다.
제로인의 평가에 의한 15일 현재 기간수익률을 살펴보면 최근 1개월 수익률은 9.10%, 3개월 9.49%, 연초후 25.07%, 1년 수익률은 35.81%를 기록했다.
이 펀드의 위험등급은 2등급으로 높은 위험 수준에 해당한다. 주요 투자위험은 시장위험과 개별위험, 이자율 변동에 따른 위험, 투자원본 손실위험, 국가위험, 순자산가치 변동위험, 유동성위험, 환매연기 위험, 오퍼레이션 위험, 투자신탁 해지 위험 등이 있다. 특히 오퍼레이션 위험은 해외투자의 경우 국내투자와 달리 시차에 의한 시장폐장 및 개장시간의 차이로 인해 신탁재산의 평가에 있어 시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복잡한 결제과정 및 현금 운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오퍼레이션 위험이 국내투자보다 더 높다.

◆미래에셋TIGER모닝스타글로벌4차산업혁신기술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파생형)합성H
펀드유형 : 정보기술섹터
설정일자 : 2017-07-28
자산규모 : 1833억원(대형급)
총보수 : 연 0.40%(평균 이하)
투자목적은 이 투자신탁은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파생상품 시장에서 거래되는 장외파생상품을 법에서 규정하는 주된 투자대상 자산으로 하며, “Morningstar Exponential Technologies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포트폴리오 구성은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수익이 결정되는 장외파생상품(스왑 등)에 주로 투자하여 “Morningstar Exponential Technologies 지수”의 수익률을 추종한다. 또한 동 지수 수익률 추종을 위해 글로벌 4차산업혁신 기술 관련 ETF와 장외파생상품인 스왑에 투자하며, 스왑은 현물과 달리 만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스왑 계약 만기시 계약을 갱신하는 거래가 진행된다.
투자전략은 이 투자신탁은 Morningstar, Inc.가 발표하는“Morningstar Exponential Technologies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는 상장지수투자신탁으로서, 기초지수의 수익률 추종을 목적으로 장외파생상품에 주로 투자하여 운용할 계획이다.
Morningstar Global Markets 지수의 구성종목인 글로벌 주식을 유니버스로 하며, 거래량, 유동성 주식시가총액 기준으로 부적격 종목을 제외하고 모닝스타에서 선정한 9가지 기하급수 기술 팩터(9개 팩터는 매년 재검토)에 대한 노출이 가장 높은 200개 종목으로 선정한다.
제로인의 평가에 의한 15일 현재 기간수익률을 살펴보면 최근 1개월 수익률은 7.36%, 3개월 11.57%, 6개월 17.54%, 1년 수익률은 30.37%를 기록하고 있다.
이 펀드의 위험등급은 2등급으로 높은 위험 수준에 해당한다. 주요 투자위험은 주식가격 변동위험, 금리변동위험, 종목위험, 부도 등의 위험, 원본손실 위험, 장외파생상품(스왑)거래에 따른 위험, 국가위험, 담보가치 변동 위험, ETF상장 폐지 위험, 4차산업 혁신기술기업 투자위험, 업종위험, 시장수익률 추종위험 등이 있다. 특히 4차산업 혁신기술기업 투자위험은 혁신적이거나 차별화된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발굴하여 투자하는 투자전략의 특성상 IT, 헬스케어 등의 특정섹터나 중소형주에 높은 비중으로 투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식시장보다 더 높은 위험(변동성 확대)을 부담할 가능성이 있다.
◆삼성 KODEX 글로벌4차산업로보틱스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파생형)(합성)
펀드유형 : 정보기술섹터
설정일자 : 2017-08-16
자산규모 : 118억원(초소형급)
총보수 : 연 0.30%(평균 이하)
이 펀드의 투자목적은 ROBO Global Robotics & Automation UCITS Price Return Index(KRW 기준, 환헷지 안함)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 변동률과 연동하여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그 운용목적으로 한다.
운용전략은 이 투자신탁은 이 투자신탁의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이 투자신탁의 기초지수인 ROBOGlobal Robotics & Automation UCITS Price Return Index(KRW 기준)의 변화를 추종하도록 운용할 계획이다. 기초지수를 추종함에 있어 거래상대방과의 스왑을 통한 장외파생상품에의 투자가 중요한 운용수단인 합성상장지수집합투자증권이며, 이에 따라 거래상대방의 신용위험 관리 및 담보자산 관리가 수익구조의 핵심이며 그외 기초지수 관련 상장지수집합투자증권에도 투자하며 운용할 계획이다.
제로인의 평가에 의한 15일 현재 기간수익률을 살펴보면 최근 1개월 수익률은 2.32%, 3개월 8.46%, 6개월 33.37%, 1년 수익률은 28.92%를 기록하고 있다.
이 펀드의 위험등급은 2등급으로 높은 위험 수준에 해당한다. 주요 투자위험은 환율변동위험, 합성ETF 투자위험, ETF가격과 순자산가치(NAV)와의 괴리위험, ETF등 보조투자자산 편입에 따른 추적오차 위험, 거래상대방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위험, 장외파생상품 관련 위험, 장외파생상품의 수익조건 변경위험, ETF장중거래시 환율변동 위험 등이 있다. 특히 ETF장중거래시 환율변동 위험은 이 투자신탁의 기초자산은 해당 시장이 개장되지 않아 가치변화가 없음에도 환율변동에 노출되어 있는 기초자산의 성격상 환율의 일중 변동에 따라 추정NAV가 변동되고, 이 변동에 따라 시장에서 거래되는 ETF의 가격이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ETF의 거래시 장중 환율변동에 유의해야 한다.
◆DB글로벌로보틱스인덱스증권자투자신탁(H)[주식]C/A
펀드유형 : 정보기술섹터
설정일자 : 2017-07-03
자산규모 : 50억원(대형급)
총보수 : 연 2.30%(평균 이상)
이 펀드의 투자목적은 주식을 법 시행령 제94조 제2항 제4호에서 규정하는 주된 투자대상자산으로 하여 주식 60% 이상과 채권-어음은 40% 미만 투자하여 가치상승에 따른 이득을 추구한다.
포트폴리오 구성은 종목과 투자비중 등 주가지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수추종을 위한 인덱스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세부적으로 로보틱스 & 자동화 관련 산업을 “원천기술 (Technology)”과 “응용제품(Application)”으로 구분하여 각각 50% 정도 비중으로 하며. 로보틱스, 자동화 관련 원천기술 보유 기업과 실제 관련 제품을 생산, 솔루션 제공 업체까지 포함하여 구성한다.
운용전략은 주식 및 ETF등에 투자하여 글로벌 로보틱스와 자동화 산업 전문 주
가지수인 ‘ROBO Global Robotics & Automation UCITS Index(이하
ROBO Global Index)’를 추종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용할 계획이다. 단기대출 및 금융기관에의 예치 등 유동성자산에의 투자는 투자신탁재산의 10%이하 범위내에서 운용할 계획이다.
제로인의 평가에 의한 15일 현재 기간수익률을 살펴보면 최근 1개월 수익률은 5.70%, 3개월 12.00%, 연초후 15.61%, 1년 수익률은 26.88%를 기록했다.
이 펀드의 위험등급은 2등급으로 높은 위험 수준에 해당한다. 주요 투자위험은 투자원본 손실위험, 시장위험및 개별위험, 주식가격 변동위험,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 이자율 변동위험, 파생상품 투자위험, 국가위험. 추적오차 위험, 지수산출방식의 변경위험, 섹터위험, 기회비용및 수수료 위험 등이 있다. 특히 섹터위험은 이 투자신탁은 일부 산업에 속하는 주식 등에 선별적으로 집중투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변동성 및 투자한 특정 섹터의 위험이 미치는 영향력이 동일 유형의 일반적인 투자신탁이나 해당 시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