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소재 한 은행 창구에서 고객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출처=이코노믹리뷰 DB
서울 소재 한 은행 창구에서 고객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출처=이코노믹리뷰 DB

오늘부터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은행 영업점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웹·모바일 등 온라인 환경에서만 이용했던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은행 창구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채널을 확대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시중은행·지방은행 관계자와 함께 신한은행 광교영업부를 방문해 서비스 시행 상황을 점검했다.

오픈뱅킹(Open Banking)은 여러 은행 계좌를 하나의 앱에서 이용할 수 있게 만든 서비스로, 은행 간 결제망을 개방해 사용자가 어떤 은행 앱에서든 간편 결제·송금 등 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데이터(MyData)는 각 금융회사에 흩어진 본인의 금융 정보를 본인의 동의 하에 한 곳에 모아 종합 분석·관리하는 서비스다. 본인의 소비 습관 점검, 상품 비교, 자산 및 신용 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그간 두 서비스는 모두 온라인을 통해서만 활용이 가능했으므로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접근성은 제한됐었다. 이에 금융위는 디지털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은행 영업점에서도 해당 서비스들을 취급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이제 디지털 취약계층도 영업점 직원의 안내에 따라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인근 주거래은행 영업점이 폐쇄됐을 경우 멀리 이동해야 했던 이용자가 인근 타행 영업점에서도 주거래은행 계좌를 관리할 수 있게 돼 금융서비스의 지역간 격차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금융위원회
자료=금융위원회

권 부위원장은 "AI·디지털 등 기술 발전으로 전체적인 생산성은 크게 개선됐지만 그 결과를 모든 구성원이 함께 나누고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며 은행권에 서비스 이용자에 따른 맞춤형 안내·홍보 등을 당부했다.

이어 "이 서비스가 포용적 금융인프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금융위에서도 시행 이후 제반 사항을 점검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오픈뱅킹 서비스는 전국 11개 은행(농협·신한·우리·기업·국민·하나·아이엠·부산·광주·전북·경남)에서 모든 은행 계좌에 대해 이용 가능하다.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전국 8개 은행(농협·신한·우리·하나·국민·광주·전북·기업)에서 이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