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수동 크래프톤 사옥에 마련된 워룸(War Room). 19일 이곳에 SK텔레콤을 필두로 한 국내 AI 기술 정예 요원들이 모여들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중간 점검과 기술 교류를 위해서다.

SK텔레콤은 이날 대학생 및 AI 연구자들과 함께 2025 파운데이션 모델 테크 워크숍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가 열린 워룸은 이름 그대로 치열한 기술 전쟁을 준비하는 공간이다. 엔지니어와 연구진이 상주하며 공동 개발과 시제품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첨단 협업 환경이 갖춰져 있다.

이날 워크숍에는 SKT와 크래프톤을 비롯해 포티투닷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 서울대학교 KAIST 등 8개 기관이 참여했다. 이들이 한자리에 모인 이유는 명확하다. 글로벌 빅테크에 종속되지 않는 한국형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완성하기 위해서다.

핵심은 파라미터(매개변수) 규모다. 김태윤 SK텔레콤 파운데이션 모델 담당은 이날 발표에서 500B(5000억개) 파라미터급 초대형 모델 개발 배경을 공유했다. 오픈AI의 GPT-3가 1750억개 수준임을 감안하면 5000억개는 국내에서 보기 드문 도전적인 규모다.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와 LG의 엑사원 등 국내 대표 모델들과 경쟁하며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가 읽히는 대목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모델 개발을 넘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연합군(Alliance) 형태라는 점이 특징이다. 리벨리온이 국산 AI 반도체(NPU) 최적화를 맡고 크래프톤이 게이밍 등 실사용 환경을 제공하며 SKT가 대규모 학습 인프라를 담당하는 구조다. 엔비디아 GPU 품귀 현상과 천문학적인 비용 문제를 국산 반도체와 기술 협력으로 돌파하겠다는 전략이다.

워크숍에서는 실질적인 기술 성과들이 공유됐다. 김건희 서울대 교수와 이기민 KAIST 교수는 각각 멀티모달 오디오 생성 기술과 액션 모델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김홍석 리벨리온 최고 소프트웨어 아키텍트는 국산 AI 반도체 기반의 추론 최적화 기술을 설명하며 하드웨어 효율성 확보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크래프톤의 발표는 AI가 실제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로 주목받았다. 제갈윤 매니저는 사내 AI 에이전트인 KRIS를 소개했고 김현승 팀장은 이용자와 함께 게임을 하며 대화하는 CPC인 펍지 앨라이(PUBG Ally)를 시연했다. 연구실 속 기술이 게임이라는 대중적인 플랫폼을 만나 상용화 가능성을 타진한 것이다.

사진=SKT
사진=SKT

시장에서는 이번 연합군의 행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빅테크가 주도하는 생성형 AI 시장에서 단일 기업의 힘만으로는 생존하기 어렵다는 위기감이 국내 기업들을 결집시키고 있다. 통신사와 게임사 팹리스(반도체 설계) 스타트업이 뭉친 이번 컨소시엄은 각자의 데이터를 공유하고 부족한 자원을 메우며 한국형 AI 생태계의 새로운 축을 형성하려 한다.

김태윤 SK텔레콤 파운데이션 모델 담당은 "SKT 정예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이 추구하는 개발 철학에 대해 워크숍 참가자들과 교감하고 사용자 시각에서 갖고 있는 궁금증도 풀어볼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라고 말했다.

이강욱 크래프톤 AI 본부장은 "이번 워크숍은 SK텔레콤 컨소시엄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국내 AI 연구자와 산업계가 함께 협력의 기반을 다진 뜻깊은 자리였다"며 "크래프톤은 앞으로도 국내 AI 생태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활동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