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타 2025 개막식 현장. 사진=박상준 이코노믹리뷰 기자
지스타 2025 개막식 현장. 사진=박상준 이코노믹리뷰 기자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25’가 13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했다.

올해로 21회를 맞은 이번 행사는 한국게임산업협회가 주최하고 지스타조직위원회,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공동 주관하며 오는 16일까지 나흘간 열린다.

개막식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조영기 한국게임산업협회장, 박병무 엔씨소프트 대표, 김병규 넷마블 대표, 김태영 웹젠 대표, 서태건 게임물관리위원장 등 정·관계 및 업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올해 지스타는 44개국 1273개사 3269부스 규모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메인 스폰서 엔씨소프트를 비롯해 넷마블, 크래프톤, 웹젠, 그라비티 등 국내 주요 기업과 블리자드엔터테인먼트, 반다이남코엔터테인먼트, 세가·아틀러스, 유니티 등 글로벌 게임사들이 대거 참여했다.

주요 기업 신작 경쟁 본격화

엔씨소프트는 300부스 규모 전시관을 마련해 ‘아이온2’, ‘신더시티’, ‘타임 테이커즈’,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 등 4종의 신작을 공개하고, 미공개 MMORPG 신작을 현장에서 최초로 선보였다.

넷마블은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 ‘몬길: 스타 다이브’,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프로젝트 이블베인’ 등 신작 4종을 시연했으며, 신작 ‘솔: 인챈트’는 야외 부스를 통해 체험형 전시를 진행한다.

크래프톤은 ‘펍지: 배틀그라운드’와 함께 ‘팰월드 모바일’을 최초 공개했다. 일본 포켓페어의 글로벌 인기 IP ‘팰월드’를 기반으로 한 오픈월드 서바이벌 게임으로, 관람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체험존을 운영했다.

웹젠은 디펜스 장르 신작 ‘게이트 오브 게이츠’를 비롯해 ‘뮤’ IP를 활용한 타이틀을 선보였다. 블리자드는 12년 만의 참가로 ‘오버워치2’ 체험존을 마련했고, 반다이남코엔터테인먼트는 ‘에이스컴뱃’ 시리즈 30주년 부스를 꾸렸다.

올해 지스타는 ‘서사로 확장되는 새로운 여정’을 주제로 열렸다. 웹툰 작가 문정후와 협업한 키비주얼을 통해 가상의 세계가 현실로 확장되는 이미지를 표현했으며, 전시장 외벽과 공식 영상 등 시각물 전반에 적용됐다.

B2C관은 게임 IP 중심의 스토리텔링과 체험형 콘텐츠, 팬 이벤트를 구성해 이용자가 직접 이야기에 참여하는 몰입형 경험을 제공한다. B2B관은 기업 간 비즈니스 미팅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네트워킹 라운지를 전년 대비 약 1.5배 확대했으며, 글로벌 협력 강화를 위한 ‘지스타 네트워크 파티’도 마련됐다.

13일부터 14일까지 열리는 국제 게임 컨퍼런스 ‘G-CON2025’는 ‘이야기의 힘(Narrative)’을 주제로 진행된다. ‘드래곤 퀘스트’의 호리이 유지, ‘니어: 오토마타’의 요코 타로, ‘파이널 판타지XVI’의 요시다 나오키 등 세계적 크리에이터들이 참여해 서사 중심 게임의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또한 400부스 규모로 확대된 ‘지스타 인디 쇼케이스’에는 전 세계 20개국 80개 인디 개발사가 참가해 다양한 창작 작품을 선보인다.

공식 e스포츠 대회 ‘지스타컵 2025’는 ‘오버워치2’ 종목으로 열리며, 프로 부문과 학생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결승전은 15일 벡스코 메인 무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조영기 지스타 조직위원장은 “지스타2025는 전 세계 개발자들이 자신만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무대가 될 것”이라며 “창작의 언어와 스토리텔링의 깊이, 그리고 그것을 경험으로 전환하는 힘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