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탈현장건설(OSC)·모듈러 특별법’ 제정을 추진한다. 공장에서 사전 제작한 구조물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을 활성화해 주택공급 속도를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시범사업과 발주 물량 확대를 예고한 가운데 주요 건설사들도 OSC·모듈러 개발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1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9·7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후속 조치로 OSC·모듈러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모듈러 공법은 건축 주요 구조물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뒤 현장에서 조립·완성하는 방식이다. 현장 중심의 전통적인 시공 방식보다 공사 기간을 20∼30% 단축할 수 있어 신속한 주택 공급이 가능하다. 현장 인력 투입이 줄어 안전사고 위험이 낮고 균일한 품질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공장 자동화 설비를 통해 숙련인력 부족이나 고령화 등 건설현장이 직면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공사비가 철근콘크리트 방식보다 약 30% 비싼 게 단점으로 꼽힌다. 대량 발주를 할 만큼 대중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러한 OSC·모듈러 기술의 발전 가능성을 인지하고 지난 9·7 대책을 통해 모듈러 공법 활성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당시 정부는 모듈러 공급 보급 확대를 위해 OSC·모듈러 특별법을 제정하고, 내년 하반기 중 모듈러 매입임대주택 시범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국토부는 이번 법 제정으로 모듈러 주택의 설계·감리·품질 관리 등의 법적 기준을 정립하고, 불합리한 규제 해소와 인센티브도 강화할 예정이다. 또 총 25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모듈러 주택의 고층화·단지화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매년 3000가구 규모의 공공주택을 모듈러 방식으로 발주해 민간 확산의 '마중물' 역할을 한다는 계획이다.
김규철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모듈러 기술 발전은 주택 품질과 건설 생산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공사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고품질 주택을 신속하게 공급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모듈러 건축 시장 규모는 국내 첫 도입된 지난 2003년 8억원에서 2023년 8055억원으로 성장했다. 특히 모듈러 공동주택 시장은 올해 2538억원에서 2030년 1조7500억원 규모로 약 7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건산연은 내다봤다.
정부가 시범사업을 예고한 가운데 주요 건설사들도 최근 모듈러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GS건설의 모듈러 주택 자회사 ‘자이가이스트(XiGEIST)’는 지난 9월 국토부의 공업화 주택 인정을 획득했다. 철골 모듈러 기술을 통해 국토부의 공업화주택 인정을 받은 최대 층수는 12층이었으나, 이번 기술로 공동주택 18층까지 적용할 수 있는 기술 인정을 받게 됐다. 롯데건설도 ‘PC모듈러 공법’ 및 ‘PC(Precast Concrete) 공법’ 관련 특허를 14개 등록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지난 9월 ‘래미안 넥스트 홈’ 테스트 베드에서 세대 내부를 구성하는 바닥과 벽체, 욕실 등을 조립식 형태의 모듈형 건식 자재로 구성한 ‘인필 시스템’을 선보였다. 모듈형 조립식 형태로 해체와 이동, 재설치가 가능해 실내 공간의 구조 변경이나 리모델링 시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대건설은 최근 이주와 철거 없이 공동주택을 개선하는 주택 신사업 ‘더 뉴 하우스’를 공개하면서 모듈러 공법 활용을 언급했다. 커뮤니티용 건물 등은 모듈러 방식을 도입해 거주자의 불편을 줄이면서도 공사 기간을 단축할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신속한 공사를 위해 모듈러 제작회사인 금강공업, 유창E&C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