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의 양도 내용도 좋았다. 내 감각과 비슷한 점이 있었다.”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김환기(1913~1974)는 1963년 제7회 상파울루 비엔날레에서 한국 작가 최초로 명예 상을 받은 날, 그렇게 일기에 적었다.
만장일치로 대상을 수상한 아돌프 고틀리브(1903~1974)의 추상표현주의 작품들을 접한 것이다. 그리고 그는 귀국 대신 뉴욕행을 택했다. 현대미술의 변화를 직접 체감하기로 했다.
고틀리브는 김환기가 뉴욕 예술계 인사들과 만남을 주선했다. 그렇게 김환기는 잭슨 폴록, 마크 로스코, 바넷 뉴먼 등 이른바 ‘뉴욕화파’ 화가들과 교류했다.
뉴욕화파는 1940~50년대 뉴욕을 세계 미술의 중심지로 끌어올린 세대로, 감정과 무의식을 대형 캔버스와 색면 등을 통해 시각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 시기 김환기는 산·달·항아리 등 구체적 형상을 화면에서 지우고, 점·선·면으로 이루어진 ‘Untitled’(1967), ‘Untitled’(1971) 등을 본격적으로 시도했다.
그의 전면점화는 한국 모더니즘이 세계 무대에 소개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두 사람이 만나지 않았다면 세계 추상 회화는 지금과 다르게 갔을 지도 모른다.
김환기에게 영감을 준 고틀리브의 회화는 폭발과 긴장이 특징이다. 대표적으로 ‘Burst(폭발)’ 연작은 위에는 원, 아래에는 폭발하는 덩어리로 구성됐다. ‘Imaginative Landscape(상상적 풍경)’ 시리즈는 하늘과 대지, 질서와 혼돈 등 상반된 개념의 경계를 강렬하고 단순한 색면으로 응축해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두 작가는 1974년 같은 해 세상을 떠났다. 교류 기록은 많지 않다. 김환기의 뉴욕 시절 일기에는 서로 전화를 주고받았던 내용이 남아 있어 관계가 지속되었음을 보여준다.
거장들이 떠난 지 51년 후인 2025년, 두 작가의 재단이 교류를 이어간다. 아돌프 & 에스더 고틀리브 재단과 환기재단이 협력해 서울 용산구 페이스갤러리에서 ‘추상의 언어, 감정의 우주’전을 개최 중이다.
2인전 ‘추상의 언어, 감정의 우주’에서는 1960~70년대에 제작된 김환기의 작품 10점, 3층에는 고틀리브의 작품 6점이 전시된다. 전시는 2026년 1월 10일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