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자사의 AI 에이전트 플랫폼을 앞세워 국민 공공 서비스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카카오(대표이사 정신아)는 행정안전부와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양측은 이번 협약에 따라 연내 카카오톡 내에 'AI 국민비서(가칭)' 시범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용자는 별도의 앱 설치나 로그인 절차 없이 카카오톡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시범 서비스 단계에서는 전자증명서 발급 및 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 등의 기능이 제공된다.

이번 협약은 카카오가 자사 AI 기술력과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의 강력한 플랫폼을 결합해 B2G(기업·정부 간 거래) AI 시장을 선점하려는 핵심 전략으로 풀이된다.

단순히 정보를 안내하는 챗봇이 아니다. 카카오는 공공기관의 다양한 API를 카카오의 AI 기술과 직접 연동해 'AI 국민비서'를 구현한다. 네이버 등 경쟁사들이 자사 AI 모델을 공공 부문에 적용하기 위해 경쟁하는 상황에서 카카오는 가장 접근성이 높은 '대화형 플랫폼'을 선점한 셈이다.

사진=카카오
사진=카카오

핵심 기술은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AI 모델 '카나나(Kanana)'다. 카나나는 사용자의 문맥과 의도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단순 정보 검색을 넘어 행동 가능한 응답과 서비스 실행까지 지원한다.

또한 MCP(Model Context Protocol)와 카카오가 자체 구축한 'AI 에이전트 빌더'를 활용해 공공 지역 지식 등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만든다. 이용자의 목적에 맞는 서비스를 AI가 자동으로 실행해 대화를 통해 완결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카카오는 유해 콘텐츠 필터링을 위한 AI 가드레일 모델 '카나나 세이프가드(Kanana Safeguard)'도 적용한다. AI가 윤리적 가치를 위반하는 위험한 출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자체 개발 모델로 신뢰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카카오 유용하 AI에이전트 플랫폼 성과리더는 “행정안전부와의 이번 협약은 국민의 일상 속 공공서비스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공공기관과 함께 AI 에이전트를 연결하는 생태계를 함께 구축해 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