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담보 위주의 쉬운 영업을 해왔다는 국민적인 비난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있다"며 개선을 약속했다. 또 기업형 벤처캐피탈(CVC)에 대한 금산분리 완화를 공식 요청하며 은행권의 혁신 자금 공급 필요성을 강조했다.
◆ CVC 규제 완화 요구와 국민성장펀드 참여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진 회장은 10일 서울 마포 프론트원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에서 "담보 위주의 쉬운 영업의 원인은 선구안이 없기 때문인데 선구안을 만들기 위해서 정확한 신용평가 방식과 산업 분석 능력을 개척해야 한다. 이 부분에 매진할 것을 대통령 앞에서 약속드리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5년 전 은행장 시절에도 이런 자리가 있으면 부탁을 해왔던 사안"이라며 "CVC에 대한 금산분리를 완화해 위탁운용사(GP)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은행권에서 같이 들어가고 파이가 굉장히 커질 수 있다"고 제안했다.
진 회장은 "CVC를 금산분리로 묶어놓은 데가 전세계에서 한국뿐일 것"이라며 "실리콘밸리를 참고해서 CVC를 금산분리에서 제외시켜 주면, 만약 셀트리온이 5000만원을 투자하면 은행은 5억원도 투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조용병 은행연합회장도 국민성장펀드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 조 회장은 "현재 우리나라 자금이 부동산이나 예금에 쏠려 있는데 예금은 금리가 낮고 부동산은 투자를 하더라도 길게 가기 때문에 회수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성장펀드를 통해 국민도 함께 성장해야 한다"며 "정부가 밑단을 받치고 은행과 기업이 중간을 받치면 국민이 선순위로 들어올 수 있다. 윈윈할 수 있는 구조로 간다면 크게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AI·반도체 등 미래 전략산업에 집중 투자하기 위해 향후 5년간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한다. 당초 계획했던 100조원보다 50조원 늘어난 규모다. 이중 민간·연기금·금융권·국민 자금 75조원이 투입되며, 첨단전략산업기금 75조원은 산업은행 출자 등을 통해 조성된다. 해당 기금은 9월 9일 공포 이후 3개월이 지난 12월 초 출범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