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에도 여전한 내수부진, 공사비와 인건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착공실적이 줄어들 전망인 가운데 최근 5년간 아파트 착공실적이 최저치를 보인 광역 지자체가 7곳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착공감소에 따른 공급부족이 집값 급등과 신규 아파트 쏠림현상을 부추기면서 올해 말까지 내집마련과 청약경쟁은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2일 국토교통 통계누리 '주택건설실적(착공)'에 따르면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서울 △강원 △경북 △전북 △전남 △울산 △광주 등 7개 지역의 작년 6월부터 올해 5월까지 지난 1년간 아파트 착공실적이 최근 5년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의 아파트 착공실적(2024년 6월~2025년 5월)은 2만729가구로 지난 5년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2020년 6월~2021년 5월(3만 2179가구)대비 급격하게 줄어든 수치다.
강원은 최근 1년간 아파트 착공실적이 급격히 줄었다. 지난 2024년 6월부터 2025년 5월까지 5459가구로 지난 5년 중 가장 낮았다. 특히 전년(9191가구) 대비 40.6% 줄었고 지난 5년간 대부분 9000여 가구 수준을 유지한 것과 비교하면 착공실적 감소 폭이 매우 컸다.
이어 △경북(4033가구) △전북(5767가구) △전남(5396가구) △울산(4590가구) △광주(826가구) 지역의 착공실적 역시 지난 5년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처럼 아파트 착공실적의 감소는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의 여파가 컸으며 시공사, 지자체, 조합간의 공사비 갈등으로 착공이 미뤄지면서 착공실적에도 영향을 미쳤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아파트 착공실적은 2~3년 뒤 입주하게 되는 물량자체가 줄어 향후 공급감소에 따른 집값 급등이 우려된다"고 전했다.
올 하반기 아파트 착공실적이 크게 준 광역 지자체에 공급되는 신규 분양단지에 대해 관심이 커지고 있다.
롯데건설은 이달에 서울 송파구 신천동 일원 잠실미성크로바아파트를 재건축해 짓는 '잠실 르엘'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35층, 13개 동, 전용면적 84~126㎡, 총 1865가구 중 216가구가 일반분양하며 2호선 잠실나루역과 2·8호선 잠실역, 8호선 몽촌토성역을 이용가능하다.
동문건설(시공), 씨앤위(시행위탁)는 같은 달에 강원 춘천시 동면 일원에 짓는 '춘천 동문 디 이스트 어반포레'를 선보인다. 지하 4층~지상 29층, 6개 동, 전용면적 59·84㎡, 총 569가구로 공급된다. 스마트그린산업단지로 조성되는 후평일반산단과 네이버도시첨단산단의 배후 주거지역에 들어선다. 경춘선 춘천역, 남춘천역, 춘천IC 등을 통해 이동도 쉽다.
한화 건설부문은 8월 울산 남구 무거동 일원 한화케미칼 사택부지를 재개발해 짓는 '한화 포레나 울산무거'를 공급한다. 지하 3층~지상 25층, 8개 동, 전용면적 84~167㎡, 총 816가구 규모다. 무거동은 울산 남구 내 신정·옥동 생활권과 차량으로 약 10분 거리인데다 신규 아파트 공급이 드문 지역이다.
두산건설은 9월 전북 익산시 동산동 일원 세경1차아파트를 재건축해 짓는 '익산 두산위브 트레지움'을 분양할 예정이다. 총 591가구로 단지 주변에 동산초, 동남초, 이리동중 등이 있다. 대형마트 이용이 쉽고 전주지방법원 익산지원, 동산동 행정복지센터 등 공공기관도 근처에 있다. KTX익산역을 이용할 수 있다.
포스코이앤씨, 대우건설은 10월 광주 북구 임동 일원 옛 전방·일신방직 부지에 짓는 '챔피언스시티(가칭) 2단지'를 선보인다. 지하 3층~지상 49층 규모이며 2단지(3000여가구) 분양이후 1단지(1300여 가구)가 분양된다. 부지내에는 현대백화점 그룹의 복합 쇼핑몰인 '더현대 광주'가 입점을 앞두고 공사가 진행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