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신축 현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신축 현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상승하면서 고점이었던 2021년 수준의 99%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은 2023년 대비 6.9% 상승한 3.3㎡당 3861만3000원을 기록했다. 이는 직전 최고점인 2021년(3885만5000원)의 99.4% 수준이다.

서울 집값은 2021년 이후 2022년(3738만2000원)과 2023년(3613만5000원) 연속으로 하락한 이후 지난해는 전년 대비 6.9% 상승하며 전고점 수준을 회복했다.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해 3월 넷째 주 전주 대비로 상승 전환한 이후 12월 넷째 주까지 40주연속 상승했다. 다만 12월 마지막 주에는 전주 대비 보합(0.00%)으로 전환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도 전년 대비 4.5% 올랐다. 지난해 3.3㎡당 평균 매매 가격은 2319만9000원이었다. 이는 2021년(2515만4000원)의 92.2% 수준이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 상승한 것은 5년 이하 신축 아파트를 선호하는 이른바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아파트) 현상이 강화한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에서 5년 이하 신축 아파트의 상승률은 같은 해 1월 대비 7.8%를 기록했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서울 신축 아파트가 가격 상승세를 이끌면서 이러한 온기가 수도권 지역으로 확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집값은 하락세가 계속됐다.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은 2021년 3.3㎡당 130만1000원에서 2022년 959만8000원으로 6.8%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