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숫자가 감소하면서 고령층 등 금융소외계층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진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영하 국민의힘 의원실이 16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이처럼 지적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말 국내 15개 은행의 ATM은 2만7076대로 지난해 말 2만7760대에 비해 684대(2.5%) 줄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9년 말 3만6146대, 2020년 말 3만3708대, 2021년 말 3만1514대, 2022년 말 2만9321대 등으로 해마다 감소세다.

은행들은 ATM 관리나 냉난방비 등 유지 비용 문제, 모바일 뱅킹 이용자수 증가, 현금사용량 감소 등의 이유로 ATM을 철수시키는 한편 은행 점포도 점차 폐쇄하고 있다. 이에 고령층 등 금융소외계층의 접근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7월 말 기준 은행 ATM기는 2019년 말 대비 9,070대(25.09%) 줄었다.

지역별로 보면 같은 기간 경북은 1384대에서 974대로 410대(29.62%)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은행별로는 KB국민은행이 같은 기간 6777대에서 4309대로 2468대(36.42%) 줄어, 감소한 ATM 수가 가장 많았다. 다만, 이는 전체 ATM 수 자체가 많기 때문으로, ATM 감소 정책의 강도를 파악하려면 비율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KB국민은행에 이어 우리은행 1337대, 신한은행 1344대, 농협은행 1186대, 기업은행 698대 등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