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성능검증위성 개발이 순항중인 가운데 큐브위성을 탑재한 위성개발 시험에 돌입한다.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며 한국형발사체(누리호) 2차 발사시 탑재될 성능검증위성이 개발 마무리 단계로 오늘부터 오는 7일까지 4일간 성능검증위성에 큐브위성을 탑재해 위성개발 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성능검증위성 형상 모습.출처=과기정통부.
성능검증위성 형상 모습.출처=과기정통부.

성능검증위성은 누리호의 발사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개발된 위성이다.국내에서 개발한 우주기술들을 확인하기 위한 탑재체와 함께 국내 대학들에서 개발한 큐브위성 4기가 탑재되는 동시에 600~800km 사이의 태양동기궤도에서 2년간 임무를 수행한다.

성능검증위성의 중량은 약 180kg(큐브위성 4기 포함)이고 국내에서 개발한 발열전지, 제어모멘트자이로 및 S-band 안테나를 탑재해 탑재체의 작동여부를 확인한다.

큐브위성 4기는 조선대를 비롯해 서울대, 연세대, KAIST 등 국내 4개 대학 학생들이 약 2년간 개발한 가운데 과기정통부에서 우주전문 인력양성의 일환으로 추진했다. 큐브위성들의 임무는 지구대기관측, GPS RO 데이터 수집, 미세먼지 모니터링, 초분광 카메라 지구관측, 전자광학ㆍ중적외선ㆍ장적외선 다중밴드 지구관측 등이다.

4일부터 오는 7일까지 질량특성 측정 시험이 이뤄질 예정으로 성능검증위성 개발과정 가운데 처음으로 큐브위성 4기를 장착한 완성된 모습으로 시험을 실시한다. 성능검증위성은 위성체의 무게중심 측정 및 관성모멘트 정밀 측정 등을 수행한뒤 성능검증위성이 누리호에서 분리된 후 궤도에서 안정적으로 자세를 제어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누리호 1차 발사는 위성모사체만을 탑재했으나 누리호 2차 발사는 위성을 탑재해 이를 궤도에 투입시켜 우리가 독자개발한 발사체를 통해 위성을 최초로 탑재후 발사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면서 “오는 6월에 누리호 2차 발사를 앞두고 성능검증위성이 원활히 개발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