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리뷰=금교영 기자] 박경일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 사장은 3일 신년사를 통해 “2022년 새해는 SK에코플랜트가 성공적인 IPO 달성을 위한 준비를 완성하는 해”라며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핵심 과제를 발표했다.
박경일 대표는 “국내 1위 환경 사업자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볼트온 전략을 지속 추진해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겠다”며 “동남아시아 시장 중심의 앵커 사업을 조속히 확보하고 규모를 확대하는 동시에 북미·유럽 등 선진국 시장까지 글로벌리제이션을 가속화 하겠다”고 말했다.
또 연료전지 및 수소 사업의 외연을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박 대표는 “연료전지 사업은 지난해 미국 블룸에너지 투자를 발판으로 미국·동남아를 포함한 해외시장에 진출하고 지역별 독점권을 확보·선점해 나가고, 수소사업은 경북 구미에서 현재 실증 중인 SOEC(Solid Oxide Electrolyzer Cell, 고체산화물수전해설비) 기반의 그린수소 생산 솔루션을 누구보다 먼저 상용화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과 연계해 SK에코플랜트만의 그린수소 생산-소비 플랫폼으로 구체화해 글로벌 수소경제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삼강엠앤티 인수 마무리를 통한 해상 풍력과의 시너지도 창출한다. 박 대표는 “삼강엠앤티 경영권 확보는 SK에코플랜트의 역량과 연계할 수 있는 핵심 기자재 제작 영역까지 밸류체인을 확장하고 해상풍력 발전시장에 본격 진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삼강엠앤티 인수 절차를 마무리하고 SK에코플랜트와의 시너지 창출을 통해 양사의 기업가치를 높이겠다”고 덧붙였다.
박 대표는 “에코스페이스 사업은 올해 공동주택 신규 브랜드 론칭과 함께 도시정비 및 민간도급 사업의 영업력을 강화하고 단순 EPC(설계·조달·시공) 중심에서 벗어나 데이터센터, 물류센터 등 개발형 사업으로 확장해가겠다”며 EPC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또 신설법인인 SK에코엔지니어링의 출범을 통한 엔지니어링 전문성 강화, 11개의 BU(Business Unit) 및 센터 체제로의 조직개편에 따라 자율적이고 유연하며 수평적인 기업문화를 만들어 가겠다는 계획이다.
박 대표는 끝으로 “지난해 11월 우리는 ‘중대 무사고 500일’이라는 대단한 기록을 달성했다”며 “오랜 시간 노력한 성과가 성공적인 IPO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새해에도 지속적으로 기본기를 강화하고 ESG 경영체계를 정착해 새로운 무사고 기록을 계속 달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