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해야 함을 강조했다. 사진=대한상공회의소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해야 함을 강조했다. 사진=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가 금융산업위원회 제44차 전체회의를 열어 금융계와 산업계가 생산적 금융의 필요성에 공감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기조 강연을 맡았으며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을 비롯한 주요 금융·산업계 임원 40여 명이 참석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한국 경제가 저출산·고령화, 미·중 패권 경쟁, 글로벌 첨단산업 경쟁 심화 등 복합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하며 “금융이 부동산·담보 중심의 기존 관행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생산적 금융을 ▲부동산에서 첨단·혁신기업으로 ▲예금에서 자본시장 투자로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자금 흐름을 바꾸는 과정이라고 설명하며 이를 위해 정책금융·민간금융·자본시장 등 3대 분야에서 9대 과제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권 부위원장은 “금융권이 이미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고 있는 점에 감사드린다”며 “외형 확대에 치우친 무늬만 생산적 금융이 아니라 금융시스템의 구조개편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매월 개최되는 생산적 금융 소통·점검회의 등을 통해 금융위가 끝까지 책임지고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진옥동 금융산업위원회 위원장도 인사말에서 “생산적 금융은 한국 금융의 패러다임 자체가 바뀌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금융권의 역할을 강조했다. 진 위원장은 “그동안 금융은 이자 중심 영업과 부동산 담보 대출에 의존해 미래산업 성장을 충분히 지원하지 못했다”며 “국민성장펀드와 국가경제의 성공을 위해 금융권이 국가전략산업·미래유망산업·혁신벤처 등으로 투자 다변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인들은 AI 등 첨단미래산업 분야의 높은 자본수요를 감안할 때 자금조달 여건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은행의 비상장주식에 대한 위험가중치가 일부 완화됐으나 기업대출에 대한 규제는 그대로라며 개선을 요청했고, 정부가 논의 중인 배당세 분리과세와 장기보유 세제 혜택의 조속한 도입도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