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 ER 이코노믹리뷰]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 디즈니+가 11월 13일 홍콩 디즈니랜드 호텔의 신데렐라 볼룸에서 ‘디즈니+ 오리지널 프리뷰 2025’를 개최한다.
올해 캐치프레이즈는 ‘Where Great Stories Live’ · ‘위대한 이야기가 살아 숨 쉬는 곳’이다.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태평양(APAC)과 글로벌 오리지널 콘텐츠가 공개되며, 디즈니 주요 임원들의 토크 세션도 진행된다.
디즈니 APAC 관객을 위한 쇼케이스
‘디즈니+ 오리지널 프리뷰 2025’는 디즈니+에서 공개 예정인 아시아태평양(APAC) 및 글로벌 오리지널 콘텐츠를 APAC 각국 기자단과 크리에이티브들에게 미리 공개하는 대규모 쇼케이스다.
월트디즈니 컴퍼니는 2021년에 APAC 지역에서 첫 번째 쇼케이스를 개최하면서 로컬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비전을 밝혔다. 지난해에는 역대 최대 규모의 프리미엄 라인업을 발표한 바 있다. 특히 한국 콘텐츠인 <조명가게>, <트리거>, <하이퍼나이프>, <나인퍼즐>, <파인: 촌뜨기들> 등은 각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
또한 디즈니+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비롯해 극장 영화까지 소개하며 매년 규모를 키워가고 있다. 디즈니가 APAC 지역을 확대하고 사로잡아야 할 주요 마켓으로 본다는 방증이다.
개장 20주년 홍콩 디즈니랜드에서 개최
올해 디즈니+ 쇼케이스는 ‘디즈니 페스티벌’ 성격에 가깝다. 개장 20주년을 맞은 홍콩 디즈니랜드 내 홍콩 디즈니랜드 호텔에서 개최된다. 메인 행사장인 컨퍼런스 센터의 ‘신데렐라’ 볼룸은 상징적이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인트로 영상에 등장하는 성이 신데렐라 성이다. 디즈니 본진에서 디즈니의 오리지널 콘텐츠들을 소개하는 셈이다.
신데렐라 볼룸은 9,428평방피트(약 876㎡) 규모로 홍콩에서 가장 큰 무기둥(pillar-free) 그랜드 볼룸 중 하나다. 무기둥 디자인은 공간 전체를 가로막는 기둥이 없어 어느 위치에서든 무대와 프레젠테이션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만큼 쇼케이스 행사의 규모와 질을 모두 고려한 셈이다.
킬러들의 쇼핑몰 시즌2 · 재혼황후 등 공개
오전 10시부터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 오리지널 콘텐츠와 글로벌 오리지널 라인업이 대거 공개된다.
행사의 하일라이트는 K콘텐츠 발표다. 최근 공개된 <조각도시>를 비롯해 2026년작 <운명전쟁 49>, <킬러들의 쇼핑몰 시즌2>, <재혼황후>, <골드랜드>, <현혹> 등이 주연배우들과 함께할 예정이다.
올해도 깜짝 게스트가 예고됐다. 지난해에는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의 안소니 마키가 참석했다.
비전 실현시킨 두 리더의 토크 세션
콘텐츠 발표 이후에는 글로벌 및 아태지역 리더십 토크 세션이 진행된다. 대담자는 에릭 슈라이어 사장과 캐롤 초이 총괄이다. 디즈니+의 로컬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비전을 실현시킨 주역들이다.
에릭 슈라이어는 디즈니 텔레비전 스튜디오 및 글로벌 오리지널 텔레비전 전략 부문 사장이다. 그는 <무빙>, <조명가게> 등 디즈니+ 글로벌 오리지널 히트작 제작을 진두지휘해왔다.
슈라이어 사장은 20세기 텔레비전과 20세기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을 총괄하며, 연간 300편 이상의 작품과 총 4,500시간에 달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글로벌 창작 부문을 이끌고 있다. 2023년과 2024년 버라이어티가 선정한 ‘전 세계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이끄는 비즈니스 리더 500인’에 연이어 선정됐다.
캐롤 초이는 월트디즈니 컴퍼니 아태지역 통합 마케팅 및 오리지널 콘텐츠 전략 총괄이다. 지난 해에는 행사 마지막 <무빙 시즌2> 제작 소식을 깜짝 발표한 바 있다.
캐롤 초이 총괄은 아태지역에서 스튜디오 사업, 오리지널 콘텐츠 전략, 통합 마케팅을 총괄하며 디즈니+를 아태지역 내 대표적인 스트리밍 서비스로 성장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2023년과 2024년에는 할리우드 리포터가 선정한 ‘국제 TV 업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올렸으며, 2024년 ‘버라이어티 500’에 선정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