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금융지주 본사.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KB금융, 신한금융, 농협금융, 우리금융, 하나금융 본사. 출처=각사
5대 금융지주 본사.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KB금융, 신한금융, 농협금융, 우리금융, 하나금융 본사. 출처=각사

정부의 '생산적 금융' 기조에 따라 5대 금융그룹이 대규모 자금 지원에 나선다. 하나·우리·NH농협에 이어KB금융과 신한금융이 각각110조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내놓으면서, 5대 금융그룹이 총 508조원을 투입하는 대형 자금 계획이 본격화됐다. 

10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KB금융은 2030년까지 생산적 금융 93조원과 포용금융 17조원 등 총 110조원을 공급한다. 세부적으로는 국민성장펀드에 10조원, 그룹 자체 투자에 약 15조원을 배정해 반도체·인공지능(AI)·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성장산업을 지원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잇는 물류 에너지 등 핵심 인프라 사업에도 자금 공급을 늘린다는 방침이다.

신한금융은 '신한 K-성장! K-금융! 프로젝트'를 통해 총 110조원을 지원한다. 전체 110조원 중 약 93조~98조원은 생산적 금융으로 반도체, 에너지, 인프라 등 핵심 산업 육성에 투입하고, 12~17조원은 포용금융을 위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자금난 완화를 위한 금융지원 및 중금리 대출 확대에 활용할 방침이다. 

앞서 하나금융은 '하나 모두 성장 프로젝트'를 통해 총 100조원을, 우리금융은 '미래동반 성장 프로젝트'로 80조원을, NH농협금융은 '상생성장 프로젝트'를 통해 108조원을 각각 투입하기로 했다. 5대 금융의 생산적·포용금융 지원 규모는 총 508조원으로, 연평균 100조원 이상이 산업 및 민생회복에 공급되는 셈이다. 

5대 금융은 정부가 추진 중인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에도 핵심 출자자로 참여한다. 각 그룹은 10조원씩 출자해 산업 및 지역별 전략투자 재원을 마련한다. 

주요 금융그룹의 이번 조치는 정부가 가계 중심 금융에서 산업 중심 금융으로의 전환을 주문한 데 따른 것으로, 5대 금융그룹은 반도체·인공지능·에너지 등 첨단산업은 물론 중소기업과 지역균형 투자까지 지원 폭을 넓히며, 산업금융으로의 전환 속도를 한층 높일 계획이다. 

다만 대규모 자금 공급이 이어지면서 건전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대출 확대 목표가 과도하게 설정될 경우,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으로 자금이 유입돼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중소기업의 대출잔액과 연체율이 상승세인 가운데 지원 목표가 과도하게 확대되면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심사체계를 보다 정교하게 다듬고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