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금융그룹이 정부의 생산적·포용금융 기조에 발맞춰 2030년까지 110조원 규모의 금융 지원에 나선다. 이는 진옥동 회장이 추진하는 '신한 K-성장! K-금융!'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국가 핵심 산업 육성과 금융 취약계층 지원을 동시에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9일 신한금융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총 110조원 가운데 93조~98조원을 반도체, 에너지, 인프라 등 전략 산업과 중소·중견기업 대출 등에 투입하고, 12조~17조원을 서민과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의 신용회복과 생활자금 지원에 활용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국민성장펀드 10조원 △그룹 자체 초혁신경제 투자 10~15조원 △부동산을 제외한 기업대출 72~75조원이 배정됐다.
아울러 반도체 클러스터 내 용수 및 교통 인프라 조성에 각각 5조원 규모의 금융 주선을 추진할 계획이며, 대전·세종·충북을 잇는 광역철도(CTX) 사업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데이터센터·신재생에너지·BESS(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 관련 펀드 조성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계획은 부동산 담보 중심의 대출 관행을 기업 중심으로 전환하려는 정부의 금융정책 방향과도 맞물린다. 정부가 조성 중인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에는 5대 금융그룹이 주요 출자자로 참여하며, 신한금융그룹은 이 중 10조원을 담당한다.
한편, 신한금융그룹은 그룹 차원의 '생산적금융 PMO(프로젝트관리조직)'를 신설해 은행, 카드, 증권, 자산운용, 캐피탈, 라이프, 저축은행 등 주요 자회사 간 협력을 강화하고 효율적인 자금 집행과 관리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