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AX(사장 김완종)가 글로벌 풍력타워 제조기업 씨에스윈드와 손잡고 신재생에너지 제조산업의 AI 중심 운영모델 구현에 나선다. 씨에스윈드가 추진 중인 AI 기반 제조 공정 최적화를 위한 'WAIV(웨이브)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착수했다고 6일 밝혔다.
씨에스윈드는 미국 베트남 덴마크 포르투갈 등 7개 국가에서 생산법인을 운영하며 전 세계 해상 육상 풍력발전 구조물을 공급하는 글로벌 선도 기업이다.
최근 RE100 IRA 글로벌 공급망 재편 ESG 경영 강화가 본격화되면서 제조기업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리스크 예측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 과제로 떠올랐다. 씨에스윈드가 AI 중심 조직 운영과 프로세스 혁신을 목표로 전사 AX를 추진하는 배경이다.
양사 협력은 지난 8월 씨에스윈드 미국 공장에서 진행된 AI 에이전트 도입 타당성 검증(PoC)에서 시작됐다.

당시 SK AX는 기존 화이트보드로 수작업 관리되던 작업 현황판을 디지털 현황판(Digital Kanban)으로 전환했다. 데이터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축적하고 AI가 작업지시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AI 작업 지시서(Work Order)' 서비스를 현장에 적용했다.
천 여개에 달하는 방대한 작업지시서들이 실시간으로 관리되고 작업 병목구간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게 됐다. AI가 매일 작업 우선순위를 데이터 기반으로 제안해 생산 흐름을 최적화했다. 현장이 AI와 사람이 협력하는 '에이전틱 AI(Agentic AI)' 기반 운영환경으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이번 본 사업은 당시 검증 결과를 씨에스윈드 산하 미국과 포르투갈 법인에 우선 적용한다. 향후 전세계 7개 모든 법인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구축되는 WAIV 플랫폼은 ERP(전사적 자원 관리) MES(생산 관리) 등 주요 기간 시스템 데이터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연계해 실시간 조회를 가능하게 한다. 국가별 사업장별 핵심 지표를 한 화면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한다.
SK AX는 생산현장과 사무영역 전반에 에이전틱 AI 체계를 구현한다.
미국 법인에 적용한 AI 작업 지시 에이전트 외에도 ▲고객 도면을 자동 분석해 생산공정 계획을 수립하는 에이전트 ▲자재 설비 인력 등 가용자원을 분석해 최적의 작업 일정을 생성하는 스케줄링 에이전트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리스크를 감지하는 현장 관리 지원 에이전트 등을 순차 개발한다.
생산 영역 뿐 아니라 구매 물류 회계 등 사무 전 영역에도 '엔터프라이즈 AI 워커'를 도입한다. 구성원이 반복 업무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AI 중심 근무환경을 조성한다.
씨에스윈드 원진희 최고 경영혁신 본부장은 “지난 8월 미국 공장에서 진행된 AI 에이전트 적용 결과를 통해 AX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며 “SK AX와 함께 생산부터 경영까지 전 과정이 데이터와 AI 기반으로 전환되는 새로운 제조 모델을 구현해 나가겠다” 고 말했다.
SK AX 김민혁 제조/Global사업부문장은 “씨에스윈드와 함께 에이전틱 AI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제조 운영모델을 신재생에너지 산업 특성에 맞게 구현하겠다”며 “제조 분야에서 축적한 SK AX의 경험과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AX 혁신 성과를 조속히 이끌어내고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글로벌 제조 AX 생태계를 보다 폭넓게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