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매매 가격 전망, 소비자 응답 비중 추이. 사진=부동산R114
주택 매매 가격 전망, 소비자 응답 비중 추이. 사진=부동산R114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에도 내년 상반기 주택가격 상승을 전망하는 소비자가 절반 이상이라는 설문결과가 나왔다.

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전국 1458명을 대상으로 '2026년 상반기 주택 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2%가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1년 하반기 전망 조사에서 상승 전망이 62%를 기록한 이후 5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하락한다는 응답은 14%, 보합 전망은 34%였다.

가격 상승 전망 이유로는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35.37%)이 가장 많았다. 정부의 6·27 대책부터 최근 10·15 대책까지 다양한 수요 억제 조치에도 불구하고 서울 주요 아파트와 수도권 핵심 지역 중심으로 신고가 현상이 이어지면서 수요층의 불안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기준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12.63%) 답변이 뒤를 이었다. 기준금리가 최근 동결 기조에도 인하 사이클은 계속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돼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어 ▲서울 등 주요 도심의 공급부족 심화(10.90%) ▲정부의 주요 규제에 따른 매물잠김(8.91%)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8.78%) ▲대출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 영향(6.52%) 등 순이었다.

매매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 10명 중 4명은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38.16%)를 이유로 선택했다. 가계부채 관리 목적성이 강한 대출 규제 강화 조치가 현 정부의 6·27대책과 10·15대책을 통해 규제지역이 대거 확대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승인 절차가 매우 까다로워진 환경에 처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부동산R114는 설명했다.

그 다음 하락 요인으로 ▲경기 침체 가능성(15.94%) ▲대출 금리 부담 영향(10.63%) ▲가격 부담에 따른 수요 감소(8.21%) ▲투기과열지구 등 규제지역 확대 영향(7.25%) 등이 뒤를 이었다.

전세가격은 상승 응답이 57.75%로 하락 응답(9.26%)의 6.2배였고 월세가격은 상승 전망(60.91%)이 하락(5.28)의 11.5배에 달했다.

전세가격이 오른다는 응답자 중 34.8%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 증가’를 이유로 꼽았다. 강화된 대출규제로 위축된 매수 심리가 상대적으로 전세 수요를 늘려 가격 상승 압박을 높인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어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물건 공급 부족(23.75%) ▲서울 등 주요 인기지역 입주물량 부족(14.73%) ▲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9.74%) 등 순이었다.

전세 가격 하락 전망을 선택한 경우는 ‘정부의 전세시장 안정대책 효과’(23.70%)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정부의 전세대출 보증비율 하향 조정과 갭투자(전세 낀 주택구입) 제한, 실거주(토지거래허가구역) 조치가 이뤄짐에 따라 전세가격 하락에 대한 기대감이 일부 형성된 분위기다.

이어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역전세) 리스크(20.74%) ▲전세대출 부담감에 따른 월세시장 이탈(13.33%) ▲일부 지역의 입주물량 증가(12.59%) ▲전세보증(보험, 대출) 가입 요건 강화 영향(11.11%) 등 순이었다.

상반기 부동산 시장 핵심 변수로는 '대출 세금 등 부동산 규제환경 변화 여부'(17.01%)가 가장 많은 응답을 기록했고 이어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 여건'(16.8%),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및 인하 여부'(14.75%) 등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온라인 설문으로 10월 22일부터 11월 2일까지 12일 동안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서 ±2.57%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