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의 기쁨은 잠시. 막상 그 순간이 닥치면 기쁨보다 불안이 앞선다. "내가 과연 팀을 이끌 수 있을까?" 어제까지 익숙한 실무의 울타리 안에서 안전했던 나는 오늘부터 '리더'라는 이름으로 모든 시선을 감당해야 한다. 축하의 악수가 끝나기 무섭게 밀려오는 것은 설명하기 힘든 고립감이다.

이제 당신은 현장과 관리, 팀원과 임원, 개인의 성과와 조직의 목표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야 하는 '경계인(境界人)'이 되었다. 팀장이 된다는 것은 단순한 직급의 변화가 아니다. 익숙했던 실무자의 정체성을 내려놓고 아직 완성되지 않은 리더로서의 새로운 자아를 탐색해야 하는 고통스러운 전환 과정이다.

문제는 현실이다. 오늘날 많은 이들이 이 전환 자체를 거부하고 있다. '리더 포비아(Leader Phobia)'라는 사회적 현상이다. 

승진을 원치 않는 직장인, 특히 젊은 층의 팀장직 기피 현상은 더 이상 소수의 이야기가 아니다. 중간관리자라는 자리는 과거처럼 '보상'의 공간이 아니라, '정서적 소진'과 '책임의 과잉'이 뒤따르는 기피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개인의 회피 성향으로 치부할 수 없다. 조직의 구조가 만든 필연적 결과다. 성과에 대한 요구는 날로 복잡해지는데, 리더에게 주어진 권한과 재량은 줄어들고 의사결정의 자유는 제한된다. '성과는 당신 몫이지만 결정은 위에서 한다'는 모순적인 구조 속에서 리더는 쉽게 소진된다.

나아가 '시간의 자율성'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MZ세대의 가치관은, 희생을 미덕으로 삼던 전통적 리더십과 정면으로 충돌한다. 이들은 직급이나 권력보다 자신의 삶의 질을 우선한다. 그 결과 우리 사회는 점점 리더가 되지 않으려는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리더를 자처하는 이들이 줄어들면 조직 전체에 '리더십 공백'이 발생한다. 의사결정은 지연되고 책임은 분산되며, 누구도 명확한 방향을 제시하지 않는 조직은 표류하게 된다. 이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조직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한다.

최근의 기술적 변화, 특히 생성형 AI의 등장도 위기를 가속화한다. AI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누가 판단하고 책임지는가'라는 리더십의 전통적 가정을 흔들며, 리더에게 요구되는 역할의 범위를 근본부터 재구성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질문을 바꿔야 한다. '어떻게 하면 더 나은 리더가 될까'가 아니라, '왜 사람들은 리더가 되는 것을 두려워하게 되었는가', '무엇이 리더를 기피 대상으로 만들었는가'를 물어야 한다.

정인호 작가의 신간 리더 포비아<펴낸곳: 바이북스>는 이 물음에서 출발한다. 이 책은 리더가 사라지는 징후를 사회심리학적, 조직문화적 관점에서 냉철하게 진단한다. 나아가 저자는 리더를 더 이상 '지시하는 사람'으로 보지 않고, '의미를 해석하고 사람과 관계를 연결하는 역할'로 재정의할 것을 제안한다. 권위와 통제에 기반한 낡은 리더십에서 벗어나, 해석과 연결, 의미 창출로 그 패러다임을 전환하자는 대담한 주장이다.

경영학 박사이자 경영평론가로서 현장과 학문의 통찰을 결합해 온 저자는 리더를 두려워하는 시대의 불안을 진단하는 동시에 새로운 리더십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여정으로 독자들을 이끈다. 매우 흡입력있게. 지금 서점에서 만날 수 있다. 

정인호 작가는 경영학 박사이자 경영 평론가이며 GGL리더십그룹과 아방그로의 대표를 맡고 있다. 컨설턴트, 칼럼니스트, 작가로서 다방면에서 활약하며 날카로운 통찰과 시대를 꿰뚫는 인사이트로 많은 이들에게 지적 자극을 전해오고 있다. 

사진=갈무리
사진=갈무리

국내외 기업을 대상으로 3000회가 넘는 강연을 진행하며 실전과 이론을 아우르는 전달력으로 정평이 나 있다. 공공의 선을 실천하는 삶을 지향하며 10년 넘게 사회적 재능기부 프로젝트인 〈정인호의 강토꼴〉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DE&I 성공 전략》, 《10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하버드대학 세계 고전》, 《부자의 서재에는 반드시 심리학 책이 놓여 있다》, 《다시 쓰는 경영학》, 《언택트 심리학》, 《갑을 이기는 을의 협상법》, 《소크라테스와 협상하라》, 《당신도 몰랐던 행동 심리학》, 《화가의 통찰법》, 《아티스트 인사이트》, 《가까운 날들의 사회학》, 《호모 에고이스트》, 《협상의 심리학》, 《HRD 컨설팅 인사이트》, 《다음은 없다》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