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금융위원회 현판. 출처=금융위원회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금융위원회 현판. 출처=금융위원회

금융당국이 인공지능(AI)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차단 체계를 가동한다. 전 금융권이 참여하는 '보이스피싱 정보공유·분석 AI 플랫폼(ASAP·에이샙)'을 통해 의심계좌와 해외 송금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 신종 범죄를 신속하게 차단하는 것이 핵심이다. 

금융위원회는 29일, 서울금융보안원에서 '보이스피싱 정보공유·분석 AI 플랫폼(ASAP)' 출범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이억원 금융위원장을 비롯해 국무조정실, 경찰청, 금융감독원, 금융보안원, 은행연합회 등 관계 기관과 업계 대표들이 참석했다. 

ASAP은 은행, 카드사, 저축은행, 농협, 신협 등 약 130개 금융회사가 참여하는 공동 플랫폼으로, 보이스피싱 관련 9개 유형·90개 항목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분석한다. 공유 항목에는 △피해자 계좌 정보 △범죄 이용 계좌 △해외 의심계좌 △위조 신분증 △피싱 사이트·악성앱 탐지 정보 등이 포함된다. 

ASAP 제도 도입 시 기대효과. 사진제공=금융위원회 
ASAP 제도 도입 시 기대효과. 사진제공=금융위원회 

특히 해외 보이스피싱 조직에 활용된 계좌가 탐지되면 즉시 참여 금융사 전체에 정보가 공유돼, 피해금이 해외로 빠져나가기 전에 송금이 차단된다. 이로써 과거처럼 경찰 수사나 개별 은행 단위 대응으로는 막기 어려웠던 해외 도피자금 유출을 실시간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됐다. 

금융보안원은 참여 금융사들과 협력해 AI 학습을 통해 위험지표 산출 공동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금융사는 자체 인프라를 갖춘 경우 직접 모형을 구동하거나, 금융보안원의 API를 통해 위험도를 '상·중·하'로 평가받는 방식 중 선택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ASAP을 통해 전 금융권 공동학습·공동방어 체계로 전환될 것"이라며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의 국제 사기행각을 차단하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AI를 기반으로 한 최신 범죄 수법 탐지와 피해자금 회수 속도가 크게 높아져 피해자 구제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보이스피싱은 이제 단순한 금융사기가 아닌 국제적·조직적 범죄로 진화했다"며 "금융회사의 보이스피싱 방지 역량과 책임성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고, 전 금융권이 AI 등 첨단기술로 무장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정부와 유관기관, 업계가 긴밀히 소통하고 협업하는 체계가
공고히 정착하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금융위는 향후 통신사·수사기관 등 비금융권까지 참여 대상을 확대하고, '통신사기피해환급법' 개정을 통해 개인정보 공유 근거와 무과실 배상책임 제도도 도입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징벌적 과징금 신설 △금융권 정보보호 공시제도 △CISO(정보보호책임자) 권한 강화 등을 포함한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도 연내 추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