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양국이 미국 워싱턴DC에서 3500억달러(약 50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협정을 둘러싼 막바지 협상에 나섰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22일(현지시간)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약 2시간 동안 회동하며 최종 절충을 시도했다.
김용범 실장은 회동 후 기자들에게 "남아있는 쟁점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했다"며 "일부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잔여 쟁점은 한두 가지이며 아주 많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협상이 막바지 단계로 봐도 되느냐'는 질문에는 "막바지 단계는 아니고, 협상이라는 건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라고 답했다. 다만 구체적인 쟁점 내용이나 진전된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번 협상에서는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 방안을 둘러싸고 현금 비율, 자금 공급 기간 등이 의제로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실장은 김정관 장관과 함께 이날 오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며 "많은 주제는 의견이 많이 근접해 있고, 한두 가지 주제에서 양국의 입장이 차이가 크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또 "우리가 이번에 온 추가 주제에 대해 우리 입장을 미국이 조금 더 진지하게 이해해준다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실장이 이날 협상 후 "일부 진전"을 언급한 만큼 핵심 쟁점을 둘러싼 양측의 입장 차이가 일부 좁혀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이 러트닉 장관을 만난 것은 지난 16일 이후 엿새 만으로, 당시에도 만찬을 포함한 4시간가량의 회담을 통해 상당 부분 이견을 좁혔으나 한두 가지 쟁점이 남아 한국으로 귀국했다가 재차 방미했다.
이번 방문은 단기간 일정으로 진행됐다. 이에 따라 한국 측이 마지막 핵심 쟁점에 대한 최종 제안을 제시하고, 미국의 반응을 확인하는 자리였을 가능성이 크다.
협상 후 김 실장은 "러트닉 장관과 다시 만나기는 어렵다. (더 논의할 것이 있으면) 화상으로 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또한 오는 31일 경주에서 개막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 협상 타결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APEC이) 우리에겐 중요한 계기"라고 밝혔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은 협상 직후 애틀랜타로 이동해 귀국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