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디지털 전환(DX)이 인공지능 전환(AX)이라는 거대한 파도 앞에 섰다. 수많은 AI 솔루션이 쏟아지지만 정작 무엇을 어떻게 도입해야 할지 모르는 기업들의 고민이 깊어지는 가운데 코오롱베니트가 AI 시대의 길잡이를 자처하고 나섰다.

코오롱베니트는 9월 30일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약 800명의 고객과 파트너가 참석한 가운데 ‘KOLON BENIT AX BOOST SUMMIT 2025’를 열고 고객과 공급자의 필요를 잇는 ‘AX 조력자(Enabler)’가 되겠다는 새로운 비전을 선포했다.

강이구 코오롱베니트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AI는 최근 몇 개월 사이 수년 치에 해당하는 변화를 만들어내며 산업 경계와 고객 관계를 근본적으로 재편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AX는 혼자서 이룰 수 없는 변화이며 준비된 파트너와 생태계를 통해서만 빠른 성과를 낼 수 있다”며 글로벌 벤더와 국내 스타트업을 아우르는 코오롱베니트만의 AX 생태계를 공개했다.

그 생태계의 핵심 파트너로 나선 리벨리온의 박성현 대표는 ‘소버린 AI’ 시대의 도래를 언급하며 기술 주권 확보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박 대표는 “리벨리온은 자체 기술력으로 AI 추론 반도체를 개발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했다”며 코오롱베니트와 함께 개발한 오픈소스 생태계 기반 협력 사례를 소개하며 양사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과시했다.

이날 코오롱베니트는 AX 생태계의 구심점이 될 자체 개발 AI 통합 플랫폼 ‘프롬튼(PromptON)’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프롬튼은 기업이 AI를 도입할 때 겪는 시스템 연결 데이터 보안 모델 확장성의 어려움을 한 번에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AI 허브다. 사내 데이터와 외부의 다양한 AI 모델을 안전하게 연결하고 기업 특화 솔루션을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사진=회사 제공
사진=회사 제공

이종찬 코오롱베니트 전무는 “프롬튼이 상용 AI 서비스의 약점을 보완해 몇 년 내 경영과 제조 현장을 아우르는 통합 AI 플랫폼으로 성장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오롱베니트의 자신감은 그룹 내에서 쌓아온 실증 경험에서 나온다. 정상섭 상무는 코오롱 핵심 계열사에 단계적으로 적용 중인 ‘인지형 제조’ 공정을 소개했다. 이는 공정이 스스로 상황을 감지하고 분석해 실행하는 차세대 스마트팩토리 개념으로 코오롱베니트가 자체 개발한 커넥티드 데이터 플랫폼이 기반이 된다.

정 상무는 “코오롱그룹의 DX 인프라를 구축하며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외부 제조기업 대상의 DX 사업을 본격 확대할 계획”이라며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했다.

코오롱베니트의 전략은 명확하다. 특정 솔루션을 파는 것을 넘어 AI 도입의 전 과정을 돕는 원스톱 파트너가 되겠다는 것이다. 자체 플랫폼 프롬튼을 중심으로 리벨리온 같은 강력한 기술 파트너들과의 연대를 통해 복잡한 AX 전환의 여정에서 기업들이 길을 잃지 않도록 돕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조력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적 목표가 이번 행사를 통해 분명히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