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금융위원회 현판. 출처=금융위원회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금융위원회 현판. 출처=금융위원회

금융당국이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태와 관련해 대응 체계를 중앙사고수습본부로 격상했다. 금융권은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 차질 등에 대비해 대체서류를 활용하고, 금융소비자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위원회는 28일 오후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감독원과 유관기관, 각 업권 협회가 참여한 가운데 2차 긴급회의를 열었다.

금융위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위기경보가 '심각' 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합동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중앙사고수습본부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회의에서는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이 지연되면서 신규 계좌 개설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금융권은 운전면허증 등 대체 신분증을 활용하거나 금융거래 시 별도 서류 제출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대출 심사 과정에서도 '선 신청접수, 후 요건확인' 방식을 통해 소비자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우체국 전산장애로 일부 자동이체와 금융서비스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다만 배출권거래시장, 인터넷 지로, 온라인 대금결제 등은 시스템 복구 시 정상 운영이 가능하다고 금융당국은 설명했다.

금융사들은 고객에게 팝업 안내 등을 통해 서비스 장애 현황과 추가로 필요한 서류, 대체 인증수단 등을 공지하고 있다. 또 회사별 대응센터를 운영해 금융당국과 긴밀한 소통 체계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어려운 시기일수록 금융회사들이 소비자 불편 최소화를 최우선 가치로 삼아달라"며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조치에 대해서는 사후 불이익이 없도록 비조치 의견서 등을 유연하게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혼란을 틈탄 해킹이나 보이스피싱 등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보안과 정보보호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