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분기 국내 경제가 0.7%의 ‘깜짝 성장’을 기록하며 반등 신호를 보였지만 성장의 과실은 가계보다 기업에 집중적으로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분기 국민소득(잠정) 자료를 보면 기업의 이익을 나타내는 총영업잉여는 전기 대비 4.0% 급증했다. 반면 가계의 주머니 사정을 보여주는 피용자보수(임금)는 0.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성장으로 창출된 소득 중 기업이 가져간 몫의 증가세가 노동자에게 분배되는 임금의 증가세를 5배 앞질렀다는 뜻이다. 성장으로 창출된 소득이 국민 개개인에게 온전히 전달되지 않은 셈이다. 거시 지표 개선에도 실제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 경기가 더딘 이유다.
세부적으로 보면 기업의 이익은 운송장비 제조업과 도소매업 등을 중심으로 늘었다. 반면 가계 소득인 피용자보수의 증가는 의료, 보건업,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이 이끌었다.
이처럼 기업 이익이 특정 산업에 집중되고 가계소득 증가가 일부 서비스업에 그쳐 성장 과실이 내수 전반으로 확산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전망이다. 결국 기업소득 증가가 투자나 고용 확대로 이어져 가계의 주머니 사정을 개선하지 않는 한 체감 경기 사이의 괴리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가 경제 전반의 종합적인 물가 수준을 보여주는 GDP 디플레이터(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반영하는 물가지수)는 전년 동기보다 2.8% 올랐다. 이는 내수 디플레이터가 1.6% 올랐지만 교역조건에 영향을 주는 수출과 수입 디플레이터는 각각 0.6%, 2.7% 하락해 상승 폭을 제한한 결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