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현직 금융권 CEO 중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인물은 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회장으로, 총 57억3903만원을 수령했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김남구 회장은 지주와 한국투자증권에서 총 57억3903만원을 수령했다.
김 회장이어 송치형 두나무 의장(44억6200만원), 김기홍 JB금융지주 회장(33억8200만원), 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28억7600만원), 정태영 현대카드·현대커머셜 부회장(26억94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가상자산업을 제외한 전통적 금융업권 현직 CEO 중 상반기 연봉 2위는 김기홍 JB금융지주 회장이다. 김 회장은 올해 상반기 성과급은 29억8200만원에 달했다. 여기에 급여 4억원을 합해 보수가 총 33억8200만이 된 것이다.
3위 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은 상반기에 급여 2억8000만원과 상여 25억9600만원 등 모두 28억7600만원을 수령했다.

한국씨티은행과 마찬가지로 외국계 SC제일은행 임원들의 보수 역시 금융권 최고 수준이었다.
10년간 SC제일은행을 이끌다가 고문으로 물러난 박종복 전 행장은 상반기 무려 30억8000만원을 받았다. 급여 1억100만원, 상여 13억2천300만원, 건강검진·퇴임에 따른 특별지급금 8억2천800만원, 퇴직소득 8억2천800만을 모두 더한 금액이다.
이광희 현 SC제일은행장의 상반기 보수도 14억3천800만원(급여 4억2100만원+상여 10억1700만원)으로 상당수 국내 금융지주 회장보다 많았다.

증권업계에서는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대표(25억978만원), 김성현 KB증권 대표(20억2600만원),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19억9700만원), 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16억7100만원)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CEO가 아닌 윤창식 메리츠증권 영업이사도 48억원을 받아 주목받았다.
퇴직금을 포함하면 순위가 바뀐다. 이강행 전 한국투자금융지주 부회장은 총 70억5300만원으로 금융권 전체 최다를 기록했다. 김철운 전 유진증권 부사장(40억2800만원), 임재택 전 한양증권 대표(33억5900만원)도 높은 보수를 받았다.
4대 금융지주 회장 중에서는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이 17억5000만원(급여 4억5000만원+상여 13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다만, 하나금융 측은 "2019년부터 부회장직을 수행하면서 발생한 장·단기 성과급이 상반기 중 한 차례만 나오기 때문에 하반기보다 상반기 급여가 많다"고 설명했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8억7100만원: 급여 4억2500만원+상여 4억4600만원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7억6100만원:급여 4억2500만원+상여 3억3200만원), 양종희 KB금융 회장(6억5000만원: 급여 4억5000만원+상여 2억원)이 뒤를 이었다.
진 회장의 경우 지주 부사장 재직 당시 장기성과급 등이 포함된 지난해 상반기(10억9600만원)와 비교해 올해 상반기 보수는 2억원 이상 줄었다. 이찬우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의 보수는 5억원을 넘지 않아 이번 반기 보고서에 명시되지 않았다.

5대 시중 은행장들 가운데 상반기 보수 1위는 정상혁 신한은행장(11억5400만원)이었다. 지난해 상반기(8억2400만원)보다 3억원 이상 늘었는데, 2021년 부행장 재직 당시 장기성과급이 올해부터 지급되기 시작했다는 게 신한은행 측의 설명이다.
이호성 하나은행장은 5억5600만원(급여 3억4900만원+상여 2억700만원)을 수령했다.
올해 초 취임한 이환주 KB국민은행장, 정진완 우리은행장의 경우 반기 급여가 5억원을 넘지 않아 공기 대상에서 빠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