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K-디스플레이 2025' 삼성디스플레이 부스 전경. 사진=삼성디스플레이
7~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K-디스플레이 2025' 삼성디스플레이 부스 전경.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가 7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COEX)에서 열리는 ‘K디스플레이 2025’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혼합현실(XR) 기기용 초미세 올레도스 제품을 앞세워 혁신 기술력을 대거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초미세 올레도스 패널을 통해 초고해상도 XR 기기의 활용 가능성과 생생함을 간접 체험할 수 있다. 화면 밝기가 6000니트에 이르는 스마트워치용 마이크로 LED 워치도 최초 공개돼 웨어러블 기기의 미래를 상상해볼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행사에서 1.3형 4000PPI 해상도(1만니트) 화이트(W) 올레도스의 화질을 체험할 수 있는 양안 데모제품을 전시한다. PPI는 1인치당 픽셀 수를 나타낸다. 최신 스마트폰의 PPI가 500PPI 안팎인 것을 감안하면, 스마트폰보다 픽셀이 8배 더 조밀한 디스플레이를 경험해볼 수 있다.

관람객은 바닷속에서 상어가 다가오는 콘텐츠, 물총의 물줄기를 직접 맞는 듯한 콘텐츠 등을 청각 효과와 더불어 몰입감 있게 즐길 수 있다. 특히 전시 제품은 관람객 눈높이에 맞도록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어, 실제 XR 기기를 착용한 듯 실감 나는 체험이 가능하다.

삼성디스플레이가 'K-디스플레이 2025'에서 선보인 1.3형 4,000PPI 해상도(10,000니트)의 양안 화이트(W) 올레도스 제품.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가 'K-디스플레이 2025'에서 선보인 1.3형 4,000PPI 해상도(10,000니트)의 양안 화이트(W) 올레도스 제품.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세계 최고의 RGB 올레도스 기술력이 담긴 제품도 살펴볼 수 있다. 업계 최고 해상도를 구현한 1.4형 5000PPI 제품이 대표적이다. 크기는 손목시계 화면만큼 작지만, 화면 속 픽셀 수는 약 2400만 개로 4K TV의 3배에 육박한다. 화면 밝기가 2만니트에 달하는 1.3형 RGB 올레도스(4200PPI)도 전시된다.

차세대 스마트워치용으로 개발된 6000니트 밝기의 마이크로 LED도 최초로 공개한다. 6000니트 밝기는 기존 공개된 워치형 제품 중 최고 수준으로, 발광 효율을 대폭 개선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화질 우수성을 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현대 미술 작가와 협업, ‘OLED 갤러리’도 구성했다.

OLED 갤러리는 태블릿, 노트북 등 소형 OLED는 물론 모니터, TV 등 대형 QD-OLED까지 전 제품군을 활용해 꾸려졌다. QD-OLED는 기존 대형 OLED와 달리 퀀텀닷(양자점)을 내재화해 RGB 삼원색만으로 구성된 픽셀구조를 완성, 주변색의 간섭 없이 정확하게 색을 표현할 수 있다.

'K-디스플레이 2025' 삼성디스플레이 부스에서 QD-OLED 및 OLED로 꾸며진 게임 스트리머의 공간. 사진=삼성디스플레이
'K-디스플레이 2025' 삼성디스플레이 부스에서 QD-OLED 및 OLED로 꾸며진 게임 스트리머의 공간. 사진=삼성디스플레이

OLED 제품으로 꾸며진 게이밍룸도 이번 전시회의 볼거리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에서 국내 대표 게임업체 중 하나인 엔씨소프트와 협업, 올 하반기 최대 기대작인 신작 ‘아이온2’와 ‘브레이커스: 언락 더 월드’를 통해 QD-OLED 모니터와 OLED 노트북의 우수한 화질을 소개할 계획이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는 국가전략기술인 한국디스플레이의 경쟁력과 디스플레이 기술의 가치를 일반 소비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행사”라며 “올해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준비하고 있는 올레도스 같은 혁신 기술이 우리의 일상을 어떻게 바꿔놓을지 미래를 상상하고 체험해볼 수 있는 특별한 전시를 마련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