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들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상향 조정하고 있다. 그간 가장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던 JP모건도 예상치를 높이며 분위기 반전을 시사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JP모건은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6월 30일 0.5%에서 0.6%로 올린 데 이어, 지난달 24일에는 0.7%로 추가 상향했다.
JP모건은 한국은행의 2분기 GDP 발표 직후 보고서를 통해 "2분기 GDP 성장률이 시장 예상을 소폭 웃돌았는데, 이는 수출 호조와 제조업 성장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3분기에는 이로 인한 반작용이 나타나겠지만, 재정 부양책 효과가 완충 작용을 할 것"이라며 "하반기 연율 평균 1.8% 성장 전망을 유지하면서 2분기 실적을 반영해 연간 성장률을 0.7%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6월 하순까지만 해도 JP모건은 국제금융센터가 집계하는 해외 주요 IB 8곳 중 가장 낮은 전망치를 제시한 곳이었다.
골드만삭스도 최근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높였다. 골드만삭스는 이달 1일 보고서에서 "이번 무역 협상 발표는 반도체 등 특정 품목 관세 관련 불확실성을 줄인다"며 기존 1.1%였던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1.2%로 0.1%포인트 올렸다. 이어 "한국이 다른 국가와 비교해 불리한 조건도 아니다"고 평가했다.
또한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보다 0.1%포인트 높은 2.2%로 상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6월에도 미국 관세 리스크 완화, 미중 성장 전망 상향, 한국의 재정 부양 가능성 등을 근거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7%에서 1.1%로 크게 올린 바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IB 8곳이 제시한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지난달 말 기준 0.9%다.
JP모건과 골드만삭스가 전망치를 상향했지만 전체 평균에는 아직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해당 평균치는 6월 말 1년 4개월 만에 상승한 뒤 두 달 연속 유지되고 있다.
한국은행도 오는 8월 수정 경제전망 발표에서 성장률 전망치를 올릴 가능성이 있다. 한은은 지난 5월 올해 연간 성장률을 0.8%로 제시하면서 2차 추경이 성장률을 0.1%포인트 끌어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당시 한국은행은 대미 상호관세율 15%, 자동차 관세율 15%를 가정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성장률을 추산했다. 이번 미국과의 관세 협상 결과는 이 시나리오와 대체로 부합하는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