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대한 6억원 제한 규제가 본격 적용되면서 서울 지역 주담대 신청액이 절반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수요가 급속히 위축되면서 강남권을 중심으로 매수 심리도 약화되는 분위기다.
6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대출 규제 발표 후 첫 주(6월 30일~7월 3일) 은행권 서울 지역 일평균 주담대 신청액은 3500억원대로 집계됐다.
대출 규제 발표일 직전 주(6월 23~27일) 일평균 신청액 7400억원대에 비하면 52.7% 감소한 규모다.
예고 없이 규제 발표가 이뤄진 지난달 27일에는 하루 신청액이 1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대출 신청액과 승인액을 주요 지표로 삼아 규제 효과를 평가하고 있다. 주담대 실행액은 매매계약과 시차가 존재하는 반면, 신청액은 거래 시점과 시간 차가 적어 시장 반응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특히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주요 고가주택 지역에서 신청 감소 폭이 컸다.
강남권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대출 규모가 커졌고, 규제 효과도 해당 지역에 집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월 다섯째 주 기준 108.8로 전주 대비 2.4포인트 하락했다. 5월 첫째 주 이후 7주 연속 상승하던 지수가 하락세로 전환된 것이다.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가 전반기 대비 절반 수준으로 축소된 것도 주담대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당국이 연간 총량을 조정하면서 은행권이 신규 대출 취급에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은행권은 주담대 신청을 받는 대로 모두 승인하면 총량 목표를 초과할 수 있어, 물량 관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이달 발표될 실행액 기준 통계에서는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전에 계약된 거래의 대출 신청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면서 감소 효과가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개인사업자·법인대출로 자금 수요가 이동하는 '풍선효과'에 대한 점검도 강화된다.
금융위 고위 관계자는 "법인 대출이 투기성 자금으로 전용되는지 정밀 점검하겠다"며 "대출 자금이 보다 생산적인 분야로 유입돼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