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센타이어가 글로벌 ESG 기준에 기반해 '2024/25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보고서는 처음으로 연결 기준 자회사인 해외법인 11개 사업장까지 포함한 성과지표를 정식 반영해 ESG 공시 체계를 강화했다.

환경 부문에서는 온실가스 배출 정밀 산정 범위를 대폭 확대했다. 회사가 직접 배출하는 Scope 1부터 외부 밸류체인까지 포함한 Scope 3의 15개 전 카테고리에 걸쳐 산정 및 외부 검증을 완료했다. 자사 외부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까지 체계적으로 파악하며 실질적인 감축 전략 수립 기반을 마련했다.

자동차 산업의 친환경 전환에 대응해 지속가능 소재 개발에도 가속도를 내고 있다. 재생·재활용 원재료 10종 23개를 추가 발굴해 제품 적용 가능성을 연구 중이며 지속가능 원재료를 최대 70%까지 적용 가능한 타이어 제조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넥센타이어가 2024~2025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넥센타이어
넥센타이어가 2024~2025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넥센타이어

자연 생태계 영향 평가도 국제 기준에 따라 체계화했다. 자연 관련 재무정보공개협의체(TNFD)의 LEAP 프레임워크에 따라 사업장별 물리적 리스크를 수치로 분석한 뒤 창녕 공장 인근 50㎞ 안 멸종위기종 서식지와 보호지역을 전수 조사해 대응책을 마련했다.

산업안전 부문에서는 설비 투자와 리스크 평가를 지속 강화하고 있다. 불꽃감지기, 비상 방송설비, 방화셔터 등 화재 예방 장비를 확충하고 24시간 전담 인력이 상주하는 방재센터를 운영해 10년 연속 무재해 기록을 이어가는 중이다. 지난해에는 한국경영자총협회 주관 '제1회 안전문화혁신대상' 대기업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지배구조 신뢰도 제고에도 적극 나섰다. 올해 여성 사외이사를 새로 선임해 이사회 내 성별과 직무 전문성을 확대했으며, 전체 이사 중 사외이사 비율을 62.5%로 유지해 독립적 의사결정 구조를 강화했다.

정보보안 체계도 글로벌 수준으로 확대했다. 글로벌 정보보안 인증 TISAX 획득 사업장을 국내 양산공장과 창녕공장을 포함해 기존 6개에서 8개로 늘렸으며, 개인정보 관련 사고는 3년 연속 '0건'을 기록했다.

넥센타이어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글로벌경영협회가 주관하는 GCSI 글로벌 고객만족도 타이어 부문에서 15년 연속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넥센타이어 관계자는 "전동화, 인공지능(AI),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산업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ESG 기반의 책임 있는 기술과 경영에 집중해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시대에 걸맞는 품질 경쟁력을 더욱 높여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