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이 13일 서울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열린 미국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관세부과 가전업계 긴급 영향 점검회의에서 업계 관계자와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이 13일 서울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열린 미국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관세부과 가전업계 긴급 영향 점검회의에서 업계 관계자와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미국이 철강 및 알루미늄 파생상품 대상 50% 관세 부과 적용 품목을 확대함에 따라 정부와 관련 업계 움직임이 분주해졌다. 

미 상무부는 12일(현지시각) 철강 및 알루미늄 파생상품 50% 관세 부과에서 더 나아가, 해당 제품들이 사용되는 냉장고·세탁기 등 가전제품도 관세 부과 대상에 추가하고 6월 23일부터 적용할 것을 예고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오후 관련 가전업계 및 협회, 기관과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가전기업 및 협력사 대표 및 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승렬 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열렸다.

특히 가전의 경우 품목이 다양하고 품목별로 관세의 영향이 다르므로 미국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는 한편, 국내외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고심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가전업계와 긴밀히 소통하기 위한 ‘가전업계 공동대응 TF’를 지속 운영해, 가전기업과 중소·중견협력사들의 영향을 점검하고 지원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