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5년 플라자합의의 현대판으로 거론된 ‘마라라고 협정’ 구상을 제안했던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CEA)은 “미국 행정부는 강달러 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며, 달러 패권은 미국 경제의 토대”라고 못 박았다. 최근 외환시장을 달군 ‘달러 약세를 위한 비밀 통화 합의’ 의혹에 대해서는 “그런 계획은 전혀 없다. 이번 행정부만큼 투명한 정부도 없었다”고 일축했다.
마라라고 협정 구상은 ‘메뉴판’일 뿐
스티븐 미란은 2024년 11월 트럼프 당선 직후 발표한 논문에서 미국 제조업 부활의 해법으로 달러 약세와 고율 관세를 병행하는 ‘‘마라라고 협정’ 시나리오를 제안한 바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그를 백안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로 임명한 뒤, 외환시장에서는 이 구상이 정책으로 현실화될 가능성을 의심해 왔다. 그러나 미란은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보고서는 정책 메뉴를 설명했을 뿐 특정 방안을 추진하자는 뜻이 아니었다”고 선을 그었다.

시장의 달러약세 우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월 9일 ‘상호주의 관세’를 유예한 이후 달러지수는 취임 후 대비 6 % 이상 하락했고 아시아 통화는 빠르게 절상됐다. 같은 기간 대만 달러는 10% 가까이 상승했고, 이달 초에는 1988년 이후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다. 한국 원화는 5월 이후 강세를 보이며, 6.4% 상승했다. 엔화도 5월 19~23일 주간 기준 달러당 0.9 % 절상됐다. 시장에서는 1980년대 플라자합의처럼 미국이 비밀리에 달러 약세에 합의할 가능성을 점쳤지만 백악관 경제자문 위원장은 이를 부인한 것이다.

G7에서도 “환율은 시장 몫”
이 같은 입장은 베센트 재무장관의 발언과도 일치한다. 21일 캐나다 밴프에서 열린 G7 재무장관회의에서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과 가토 가쓰노부 일본 재무상은 “환율은 시장이 결정해야 하며, 현재 달러-엔 환율은 펀더멘털을 반영한다”고 확인했다.
베센트 장관은 후보 시절 달러 약세 합의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으나, 취임 후에는 줄곧 강달러 원칙을 지지해 왔다.
미란은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정책 규모를 고려하면 최근의 변동성은 놀랍지 않다”고 진단하면서도 “이 같은 변동성이 영원히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