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가 우즈베키스탄 국제협력사업(ODA)의 결실인 '그린 하우스'를 개소해 농업 현대화의 물꼬를 텄다.

2일 충남대에 따르면 김정겸 총장단 일행은 1일(현지시각)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슈켄트에 위치한 타슈켄트 농업대(TSAU)의 그린 하우스 개소식에 참석했다.  

충남대 김정겸 총장(왼쪽)은 1일(현지시각)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슈켄트에 위치한 타슈켄트 농업대(TSAU) '그린 하우스' 개소식에 참석한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충남대
충남대 김정겸 총장(왼쪽)은 1일(현지시각)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슈켄트에 위치한 타슈켄트 농업대(TSAU) '그린 하우스' 개소식에 참석한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충남대

그린 하우스는 충남대가 지난 2021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국제협력사업 프로젝트인 우즈베키스탄 농업환경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일환으로 설립됐다. 작물재배, 병해충 관리, 딸기 스마트팜 실습 등 실험·실습중심의 교육 거점시설로 'K-농업' 교육 및 연구에 기반한 농업교육 혁신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국제협력선도대학육성지원사업단은 지난 2021년부터 ▲교과과정 개편 ▲인적역량 강화 ▲연구역량 강화 ▲교육·연구 환경개선 등의 프로젝트를 수행중이다.

김 총장은 타슈켄트 지역에 한국형 고등농업교육 모델을 중앙아시아 지역에 확산하는 거점역할을 맡게 될 'CNU 글로벌 오픈 캠퍼스' 설립을 위해 우즈벡 정부와 머리를 맞댔다.

이어 ▲외국대학의 전문성을 활용한 커리큘럼 및 교재개발 ▲국제적 차원의 교육품질 ▲자국 교수요원의 역량향상 등 우즈벡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신개발 전략의 교육부문에 대한 협의도 진행했다.

김 총장은 "충남대가 추진한 ODA사업으로 문을 연 타슈켄트 농업대학의 그린하우스는 우즈벡 농업 선진화를 향한 결실이자 양 대학이 큰 숲을 이뤄나가는 또 다른 새싹이 될 것"이라며 "CNU 글로벌 오픈 캠퍼스도 충남대만의 국립대학 해외진출 선도모델로 우즈베키스탄과의 협력은 중앙아시아 전 지역으로 지평을 확장하는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