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광모 LG그룹 회장. 사진=LG
구광모 LG그룹 회장. 사진=LG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올해는 글로벌 국제 관계, 경제 환경의 변화, AI 등 기술혁신 가속화 등으로 시대 질서의 거대한 축이 변하고 있다”며 “지금이 미래를 위한 골든타임이라는 생각으로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구 회장은 26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LG 제63기 정기 주주총회 서면 인사말에서 “시대의 변화는 LG에게 ‘새로운 성장의 사고’를 요구하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구 회장은 “LG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사업의 핵심 경쟁력 확보와 AI, Bio, Clean Tech 등 미래 성장축을 중심으로 한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에 집중하면서, 새로운 고객가치 창출을 위한 투자를 이어 나갔다”고 밝혔다.

특히 “LG는 창업 이래 항상 기업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다”며 “변화의 시기마다 남보다 앞서 도전하고 기존에 없던 가치를 창출하며 성장해 왔다”고 설명했다.

구 회장은 “지금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변화와 혁신의 골든타임”이라며 “오늘의 LG를 있게 한 ‘컴플라이언스 경영’과 ‘신성장 동력 육성’ 등 두 개의 축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컴플라이언스 경영을 위한 인식의 전환을 주문했다. 구 회장은 “컴플라이언스를 기업의 성장과 발전의 핵심 인프라로 생각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러한 인식의 전환에 있어 LG의 구성원 그 누구도 예외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LG그룹은 최근 몇 년간 이사회 중심의 컴플라이언스 거버넌스 강화를 통해 컴플라이언스가 최고경영진에서부터 사업의 일선까지 단단히 뿌리내리도록 각별히 노력해왔다”며 “향후에도 LG의 컴플라이언스 체계가 시대와 사회 변화를 적시에 반영하도록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신성장동력을 적극 발굴해 LG의 대표적인 핵심 사업으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구 회장은 “AI, Bio, Clean Tech 등 미래분야에서 차별적 가치를 창출해 사업 포트폴리오의 미래 성장 기반을 견고히 다지겠다”며 “배터리와 같은 산업은 미래의 국가 핵심 산업이자 그룹의 주력 사업으로 반드시 성장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시장과 기술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 공정기술 등에서의 혁신 방안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제63기 재무제표 승인, 정관 변경 승인, 자기주식 소각 승인, 이사 선임,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이사 보수한도 승인 등 6건의 의안이 상정돼 모두 원안대로 의결됐다.

권봉석 부회장과 하범종 사장이 사내이사에 재선임됐고 정도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가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으로 신규 선임됐다.

또한 주주가치 제고 차원에서 지난해와 동일한 보통주 1주당 3100원, 우선주 1주당 3150원의 현금배당을 확정했다.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 대비 배당금 비율을 뜻하는 별도 배당성향은 76%를 기록했다.

배당금 수익 대비 배당금 지급률은 111%다. ㈜LG가 지난해 계열사들로부터 받은 배당금보다 더 큰 규모를 주주에게 환원하는 셈이다.

LX가 계열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보통주 4만9828주, 우선주 1만421주 등 총 6만249주의 자기주식을 소각키로 확정했다. 정관 변경을 통해 중간 배당 시에도 배당액을 먼저 확정한 뒤 배당 기준일을 설정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