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전자공시
사진=전자공시

이마트가 본업경쟁력 강화 전략과 수익성 개선으로 3년여만에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14일 이마트는 연결 기준 3분기(잠정) 순매출은 7조5085억원,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338억원 증가한 111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순매출은 2.6%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무려 43.4% 증가한 수치다. 3개 분기 누계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보다 222% 증가한 1242억원을 달성했다.

이마트는 별도 기준으로도 올해 3분기 총매출 4조6726억원, 영업이익 1228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5.3%(2340억원), 영업이익은 11.4%(126억원) 늘어난 수치다. 특히 영업이익은 2020년 3분기 이후 4년 만에 분기 최대 실적이다.

본업 경쟁력 강화가 실적 개선 원동력이라는 판단이다. 이마트는 ▲매달 50여개 상품을 최저가 수준으로 판매한 ‘가격 역주행’ ▲리뉴얼 개장 후 한달간 전년 대비 48% 매출 신장을 나타낸 스타필드마켓 죽전 ▲3개 분기 누적 영업이익이 지난해 대비 85% 증가한 트레이더스 ▲3개 분기 연속 100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거둔 노브랜드 등으로 실적 개선을 이뤘다는 평가다.

계열사도 실적 회복에 한몫을 톡톡히 했다. 스타벅스를 운영하는 SCK컴퍼니는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33% 증가한 664억원을 기록했다. SSG닷컴도 광고 수익 증가와 마케팅비 및 물류비 절감 등을 통해 142억원의 영업손익을 개선했다. 조선호텔앤리조트는 194억원의 영업이익을 시현했으며, 신세계푸드는 사업 구조 개편 등 경영 효율화로 8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마트24도 1년 전과 비교해 30억원의 영업손익 개선을 보였다.

이마트 관계자는 “가격 주도권 확보와 상품 혁신, 고객 중심의 리뉴얼 등 본업 경쟁력 강화가 실적 개선의 원동력임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본업에 초점을 둔 구조 개혁과 체질 개선을 지속 추진해 수익성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