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디지털 사면통합 산사태정보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선제적 대응으로 올해 산사태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기간(5월 15일~10월 15일)에 발생한 산사태는 1107건(179ha)으로 작년보다 절반이상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기상청 분석자료에 따르면 전체 여름철 강수량 중 78.8%(474.8mm)가 지난 장마철에 내렸는데 지난 1973년 기상관측 이후 최고치를 기록됐다.
이는 산림청이 연초부터 산사태 취약지역 집중관리를 비롯해 범정부 협력체계 구축, 과학에 기반한 산사태 재난대응,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선제적 대피, 대국민 산사태 안전문화 확산 등을 적극 추진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기존 산지위주였던 '산사태정보시스템'에 행정안전부(급경사지)와 농림축산식품부(농지), 국토교통부(도로사면), 산업통상자원부(발전시설), 국가유산청(국가유산) 등 6개 부처의 사면정보를 통합해 '디지털 사면통합 산사태정보시스템'을 도입한 것도 한몫했다는 평가다.
또 협업형 부서인 '디지털 산사태 대응팀'도 신설해 농식품부와 국토부, 행안부, 산림청 등 부처간 협업강화는 물론 개편시스템을 활용해 위험사면 공동 관리체계를 구축한 바 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사방댐 등 산사태 예방시설 설치와 취약지역 점검, 대피소 정비, 주민대피 훈련 및 대피체계 구축 등을 통해 산사태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키워드
#이코노믹리뷰 #산림청 #디지털사면통합 산사태정보시스템 #산사태 #디지털 산사태 대응팀 #사방댐 #산사태 안전문화 #농림축산식품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유산청 #산사태정보시스템 #식품 #전시 #임상섭 산림청장
윤국열 기자
kyyun33@econovill.com













